비욘드포스트

2024.04.23(화)
출처=픽사베이
출처=픽사베이
[비욘드포스트 조동석 기자] 미국의 통화정책에 따라 글로벌 경제는 출렁거린다. 기준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면, 주식·채권·외환 등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경제까지 영향을 미친다. 미국은 돈의 흐름을 바꾸는 게임 체인저다.

최근에는 물가 상승으로 미국 연준이 인플레이션 방어에 나섰다. 코로나19에 맞서기 위해 기축통화 달러를 시장에 마구 공급한 미국. 금리 인상으로 통해 유동성 흡수에 나서면서 글로벌 경제는 또다시 경착륙 위기에 놓였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5월에 전 달에 비해 1.0% 상승하면서 12개월 누적 상승률이 8.6%에 달했다.

미국 CPI 연간 상승률, 연 인플레는 3월에 8.5%를 기록해 만 40년 전인 1981년 12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뒤 4월에 8.3%로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았다.

전문가들은 5월에 8.3% 혹은 8.2%를 전망했으나 이날 노동부는 3월보다 높은 8.6%를 발표했다. 월간 상승률이 1.0%로 4월의 0.3%를 크게 웃돌았다.

◆ 빅스텝에도…

미 연준은 5월 2000년 이후 처음으로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지만 여전히 기준금리는 물가상승률을 대폭 하회한 1.0%다. 김수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실질 기준금리를 볼 때 미국의 현재 통화정책은 1970년대 이후 가장 완화적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김 수석연구위원의 ‘美 경기침체 논란과 연준 금리인상 경로’ 보고서에서다.

김 수석연구위원은 연준 통화정책은 인플레이션 대응에 크게 뒤처졌다고 평가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 예측에 실패한데다 완전고용 우선 통화정책전략 등으로 물가가 7%대(YoY)로 올라선 작년 12월에서야 포워드가이던스(미래의 통화정책 방향 예고)를 수정하고 3월에 금리인상을 개시했다.

따라서 일각에서는 연준의 정책 실기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한다는 경고와 함께 과거 인플레이션 시기에 물가상승률 이상으로 금리를 인상해야 물가가 통제됐다는 점에서 고강도 통화긴축 필요성에 대한 논의도 가열되고 있다.

◆ 과거엔

1965년 이후 연준의 통화긴축은 11차례 있었다. 이중 3차례만 경제성장세가 유지(경제 연착륙)되고 나머지 모든 긴축은 결국 경기침체로 연결됐다.

그는 “미국 경기침체(8차례)는 모두 인플레이션 혹은 통화·금융여건 긴축에 따른 것이었고, 5% 이상 고물가는 항상 경기침체를 야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더욱이 현재는 전쟁을 비롯해 연준 통제 영역 밖의 경기 하방·물가 상승 요인들이

산적해 있어 경기침체 없이 물가를 목표치(2%)로 되돌리기 쉽지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진단했다.

◆ 미래는

긴축 강도가 크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현재 인플레이션의 특수성(코로나 위기와 전쟁 등)을 감안할 때 연준의 금리인상이 볼커 통화정책이나 물가 상승률 수준만큼 강도 높게 진행되지 않을 것이란 점도 경제 연착륙을 지지한다.

볼커 통화정책은 카터·레이건 행정부에서 연임한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폴 볼커의 정책을 의미한다. 그는 미국 경제가 최악의 인플레이션 국면에 빠져 있을 때 ‘초고금리’ 정책으로 인플레이션을 성공적으로 진정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고물가는 특수 요인에 따른 영향이 크며 공급망 차질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은 통화정책으로 해결이 어렵다는 점도 강한 긴축을 어렵게 한다.

김 수석연구위원은 “연준은 기준금리를 중립수준으로 빠르게 되돌린 후 인상 속도 조절에 들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