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2024.03.29(금)
출처=픽사베이
출처=픽사베이
[비욘드포스트 조동석 기자] 5월 31일 전세계 최초로 원스탑 신용대출 대환인프라가 출범한다. 금융회사 간 금리 경쟁과 편의성 제고로 소비자 편익 증대가 기대된다.

대환대출 시장은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비은행권에서 은행권으로, 혹은 비은행권 간 고객 이동이 나타날 전망이다. 특히 고객이탈로 일부 저축은행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김혜미 연구위원의 ‘원스탑 신용대출 대환대출 시대를 맞이하며’ 보고서에서다.

대환대출 인프라는 다양한 금융기관의 대출상품들을 비교해서 적합한 대출상품을 선택하고 기존 대출 상품의 대환서비스까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통합시스템이다.

국내은행 19개, 저축은행 18개, 카드 7개, 캐피탈 9개 등 53개 금융회사, 23개 플랫폼이 참여한다. 신용대출을 시작으로 올해 내에는 주택담보대출까지 대환 신청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하고, 이후 전세대출 등으로의 확대도 검토해보겠다는 것이 당국의 설명이다.

대환대출 인프라가 도입되면 금융소비자들은 지점에 방문하지 않고 플랫폼에서 대출상품들을 비교하고, 대출 상환과 갈아타기까지 온라인·원스톱으로 이루어진다.

김 연구위원은 “다수의 금융기관의 대출상품을 쉽게 편리하게 비교할 수 있어 소비자의 편익은 크게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대환대출 플랫폼 상에서 금융기관간 대출금리 경쟁이 나타나면서 소비자에게 금리 인하 혜택도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비은행권, 고객 이동?

대환대출 인프라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각 사 취급가능한 한도를 설정함에 따라 대환대출시장은 연간 최대 11조원, 올해는 약 7조원 규모(7개월분)일 것으로 추정된다.

취급한도는 은행 최대 4천억원, 저축은행 3천억원, 캐피탈 500억원, 카드사는 전년 신규취급액의 10%다. 특정 회사로 신용대출 쏠림현상이 나타나기 어렵다.

김 연구위원은 “특정 금융회사로 쏠리는 대출 규모는 제어되지만 특정 금융회사에서 유출되는 신용대출은 제어장치가 없어 특정 기관에서의 대규모 신용대출 유출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신용대출금리를 높게 운용하는 일부 시중은행이나 지방은행의 신용대출고객이 시중 대형은행이나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비은행의 경우 고객이동이 활발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비은행권의 신용대출 고객 중 27%가 1~3등급에 해당하는 고신용자에 해당한다. 이들은 대환대출 인프라가 도입되면 손쉽게 비은행권에서 은행권으로 대환대출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또 비은행권에서도 동일 신용등급이라고 하더라도 회사별 금리차가 크게 존재하는 만큼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비은행회사 간 이동도 활발하게 나타날 수 있다.

저축은행들은 우량차주의 상당비중을 은행 등에 빼앗기게 되면서 대출 포트폴리오의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 특히 중저신용자 중심의 신용대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저축은행은 대환대출인프라 도입으로 기존 고객의 이탈이 대규모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연체율이 오르고 있는 현 상황에서 금리까지 낮춰가면서 무리하게 고객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대출비교 추천플랫폼들은 카카오페이, 핀다, 토스 등 대형 플랫폼사 위주로 이미 재편된 상황인데 여기에 은행, 카드 등 기존 금융회사까지 참여하게 되면서 경쟁구도는 더욱 복잡해졌다.

문제는 대환대출 플랫폼에서 고객이 여러 개의 금융사의 대출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조회건당 15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데, 조회한 고객들이 실제로 대환대출을 받을 확률은 낮아 자본여력이 부족한 플랫폼사는 수수료 부담을 견디지 못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주택담보대출 확대

올해 내에는 주택담보대출도 대환대출 플랫폼의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한다고 한다. 등기 등 기술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부문이 있어, 일단은 온라인으로 신청만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것이 당국의 계획이다.

보고서는 신용대출 대환대출 인프라가 이제 막 도입되고 운영성과에 대한 판단 없이 가계대출의 상당비중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까지 대환대출 인프라를 확대하겠다는 것은 성급해 보인다고 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