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기업 케어젠이 지난해에도 흑자를 기록하며 22년 연속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10일 발표된 2024년 실적에 따르면, 케어젠은 매출 826억 원, 영업이익 363억 원, 당기순이익 337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44%로 업계 평균을 웃돌았지만, 전년 대비 영업이익은 10% 감소했다. 케어제 측은 "신약 개발과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비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특히, 안구 건조증 신약 ‘CG-T1’과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CG-P5’의 임상 시료 제작비, 미국 FDA 임상 1상 진행비용, 해외 전시회 참가 관련 마케팅 비용이 늘어난 점이 반영됐다. 다만, 이 같은 투자 확대는 신약 상업화를 위한 필수 과정으로, 장
국내 성인 교육 콘텐츠 회사 데이원컴퍼니(대표 이강민)는 경영진의 주식 장내 매수를 통해 책임 경영 강화와 기업가치 제고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데이원컴퍼니는 금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데이원컴퍼니 박지웅 의장, 이강민 대표를 비롯해 이경민 이사(CFO), 신해동 패스트캠퍼스CIC 대표 등 주요 임원들이 총 6,000주를 장내 매수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매수는 데이원컴퍼니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경영진의 강한 확신과 책임 경영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교육 콘텐츠계 넷플릭스’로 불리는 데이원컴퍼니는 국내 성인 교육 콘텐츠 시장을 선도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깨끗한나라는 지난 7일 서울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행정안전부와 ‘안전문화 사회공헌활동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우리 사회 전반에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과 ‘안전문화 사회공헌활동 업무협약’을 체결해 왔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한 이번 협약에는 깨끗한나라를 비롯한 29개 기관 및 기업이 참여했다. 깨끗한나라는 일상 속 안전인식 제고와 안전문화 정착에 있어 소비자와 긴밀히 소통하는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에 공감하며, 올해 처음으로 협약에 동참했다. 깨끗한나라의 전문성과 인프라를 활용해 일상 가까이에서 안
주식회사 원강(대표 강태영)은 인도에 DCS Techno 업체와 대리점 계약을 체결 후, 인도 첸나이에 첫 수리-부품센터를 오픈했다고 10일 밝혔다.이번 수리-부품센터 오픈은 원강의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인도 DCS Techno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원강 제품과 서비스를 현지 시장에 공급함으로써 인도 시장에서의 비즈니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서다.본격 오픈 전인 지난 1월 예비오픈 중인 상황에도, 다수의 건설 업체들의 서비스 요청이 이어지고 있으며, 현지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맞춤형 지원과 기술 제공에 주력하고 있다.기술 지도는 협력사인 유진이렉션 개발산업의 이영종 대표가 직접 담당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에어 포스 원에서 기자들에게 이같은 관세 부과를 밝히고 오는 11일이나 12일에 상호관세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상호관세는 발표 즉시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때 철강에 대해 25%, 알루미늄은 10%의 관세를 부과했으나 나중에는 캐나다 멕시코 EU 영국 등 주요 무역 파트너 국가들에 대해서만 이같은 관세를 부과하는 방향으로 수정했다.
대한항공은 7일 지난해 연간 매출은 16조1166억원, 영업이익 1조9446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실적으로 공시했다. 지난해 매출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이다.지난해 4분기 매출은 4조296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9801억원) 대비 495억원 늘었고, 영업이익은 4765억원으로 전년 동기(1836억원) 대비 159%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했다.세부적으로 살펴보면 4분기 여객사업 매출은 글로벌 공급 회복세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한 2조3746억원을 기록했다.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 동계 관광수요 위주의 탄력적 공급 운영으로 탑승률 제고 및 상위 클래스 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안정적 수익 창출했다고 대한항공은 소개했다.4분기 화
르노코리아는 다음 주부터 진행할 그랑 콜레오스 등 차량 생산 재개를 위한 부산공장 내 신규 설비 점검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이에 맞춰 박형준 부산시장도 이날 부산공장을 방문해 신규 생산설비를 둘러보고 르노코리아의 미래차 프로젝트 완수를 위한 맞춤형 지원을 약속했다.르노코리아는 지난해 3월 부산시와 ‘미래차 생산기지 구축을 위한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부산공장을 미래차 생산기지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 1월 전기차 양산을 위한 부산공장 설비 보강공사에 나섰으며, 이번 점검을 마지막으로 내연기관 중심의 생산라인을 전기차 생산까지 가능한 혼류 생산 라인으로 전환했다. 이와 같
삼성전자는 7일부터 ‘갤럭시 S25 시리즈’를 전 세계 주요 국가에서 출시한다고 밝혔다.‘갤럭시 S25 시리즈’는 한국, 미국, 영국, 인도, 태국 등을 시작으로 전 세계 120여개국에 순차 출시된다. 삼성전자 MX사업부장 노태문 사장은 “갤럭시 S25 시리즈는 사용자의 일상 자체를 혁신할 것”이라며 “한층 더 발전한 갤럭시 AI를 통해 역대 가장 자연스럽고 개인화된 모바일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갤럭시 S25 시리즈 출시에 맞춰 구글 제미나이를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총 46개로 확대된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지난 3일까지 진행한 국내 사전 판매에서 130만대를 기록하며, 이는 역대 갤럭시 S 시리즈 사전 판매 중 최
아모레퍼시픽그룹이 2024년 매출 4조 2,599억 원, 영업이익 2,493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5.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64.0% 늘어났다. 해외 사업이 성장세를 견인한 가운데, 미주 지역 매출이 처음으로 중화권을 넘어서는 등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이 가시적인 성과를 냈다.해외 사업 부문은 서구권을 중심으로 성장하며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조 6,789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미주 지역에서 라네즈의 립 트리트먼트 부문 1위 유지와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가 더해져 매출이 83% 급증했다. 라네즈와 이니스프리는 아마존 ‘블랙 프라이데이 & 사이버 먼데이(BFCM)’ 행사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유럽과 중
디지털 포렌식 및 침해대응 전문기업 플레인비트(대표 김진국)는 한국인정기구(이하 ‘KOLAS’)로부터 컴퓨터 및 모바일 디지털 포렌식 분야에 대한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을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KOLAS는 국제표준에 맞춰 시험기관의 품질을 평가하고 인정하는 국가기술표준원 산하 기관이다. 디지털 포렌식 분야에서 시험기관 인정을 받은 공공기관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대검찰청, 경찰청, 국군 제1068부대이며, 플레인비트는 에이치엠컴퍼니에 이어 민간기업 중 두번째로 인정을 획득했다. 디지털 포렌식은 다양한 기기에 남아있는 각종 디지털 정보를 분석해 범죄 단서를 찾는 수사기법이다. 플레인비트는 KOLAS 인정 획득으로 국제 표준
가축 메탄가스 연구전문 스타트업 메텍 홀딩스(MeTech Holdings, 이하 메텍)이 축산 대국인 미국의 JMB 노스아메리카(JMB North America, CEO 존 발비안)와 미화 185만 달러(한화 약 27억원) 규모, 메탄캡슐 활용한 ‘저탄소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메텍과 JMB 노스아메리카는 미국 윌리엄 H. 마이너농업연구소(뉴욕 소재)와 함께 메탄캡슐을 활용하여 미국 최초로 뉴욕주에 있는 젖소들을 대상으로 저탄소 프로젝트를 가동키로 했다. 저탄소 인증 우유가 앞으로 전세계 낙농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새로운 돌파구 내지는 발판으로 관심을 모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美 JMB 노스아메리카社는 코넬대학교 출신인 존 발비안(J
㈜하이로닉(149980)이 최근 신현진 부사장을 신규 영입하며, 글로벌 확장과 경영 전략 강화를 위한 새로운 리더십을 구축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영입은 기존 경영 전략의 보완을 넘어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평가된다. 신 부사장의 합류는 하이로닉이 의료기기 업계의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현진 부사장은 글로벌 재무, 전략, 투자 분야에서 17년 이상의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로, 기업 경영 최적화와 성과 개선에 뛰어난 역량을 갖춘 인물이다. 미국 UC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한 그는 Ba
2025년 2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한화, 2위 LG, 3위 SK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지난 1월 7일부터 2월 7일까지의 66개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25,072,294개를 분석하여 대기업집단의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사회공헌, 소비자지수, ESG를 분석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측정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소셜가치, 사회가치로 분류하고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브랜드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해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왜,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에서는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