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포스트

2024.05.14(화)

LG화학 불탄 ESS, 2017년 중국서 생산한 제품들…남은 200곳 “화재 방지 리콜해야”

승인 2019-10-07 11:43:29

(사진=뉴시스)울산 가스공장 ESS 화재
(사진=뉴시스)울산 가스공장 ESS 화재
[비욘드포스트 강기성 기자] ESS배터리 화재 사고가 끊이지 않고 최근 3건이 추가로 발발한 가운데, LG화학 제품에서 심각한 결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이상의 화재를 막기위해 200여개의 ESS 리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훈 의원은 수개월째 배터리 사고의 원인과 정부 조사발표에 대한 추적 조사를 한 결과, 2017년 2~4분기에 생산한 제품에서 불이나고, 배터리시스템 자체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7일 밝혔다.

LG화학 배터리의 화재사고 건수는 총 14건으로 전체 화재 26건의 54%를 차지했는데 이훈 의원실에 따르면 문제가 발발한 LG화학 제품은 모두 2017년 2분기부터 4분기 동안 LG화학 중국 남경공장에서 만들어진 초기 물량이다.

이번 민관합동조사위원회의 발표에서 화재란 배터리보호시스템(외부)에서 발화돼 배터리로 전도, 혹은 배터리랙(보호책, 내부)에서 전체로 전도되는 두가지의 경우를 말한다는 게 의원실의 설명이다. 제조사의 배터리 및 배터리보호시스템에 결함이 있다는 말과 동일하다.

이훈 의원실에 따르면 LG화학이 면죄부를 얻으려면 일종의 퓨즈인 배터리랙 자체 고장으로 퓨즈가 끊어져 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못했으며, 외부(PCS)에서 배터리 쪽으로 발화가 전도됐다는 증명을 해야 배터리가 이상이 없는 것이지만, 이런 점에서 LG화학은 증명해 내지 못했다. 각 화재별 원인에도 ‘파악불가’ 등으로 일관하고 있었다.

실제 최근 또 한 가지 중요한 시사점은 지난 8월 30일 발생한 충남 예산 소재 태양광발전소 ESS배터리 화재다.

이훈 의원실 관계자는 “LG화학 발전소에는 전부 중국 남경 생산배터리가 탑재돼 있는데, 해당 발전소도 2017년 중국에서 생산된 배터리가 포함된 발전소”라면서 “특히 이 발전소의 ESS시스템은 LG화학이 사고 이전에 방문해 배터리셀 하나하나를 점검해 문제가 될 만한 셀(일명 약한 셀)들을 찾아 새 배터리로 교체를 해주고 전력변환장치인 PCS도 점검을 마친 곳임에도 불구하고 화재가 발생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LG화학의 담당자들도 아직까지 전혀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결론이다. 즉 이훈 의원 관계자는 2017년 생산된 배터리가 탑재된 전국 발전소 200여곳에 대해 전면 리콜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가로 의원실은 정부가 국과수 최초 발화지점 결과와 민관합동조사위의 결과는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및 배터리 보호시스템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에도 애매한 조사발표를 전후로 LG화학 등 ESS배터리 제조 대기업들은 사고 책임을 알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면서 화재피해에 대한 보상과 책임을 소홀히 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LG화학과 달리 삼성SDI의 경우 발화원인 비교적 간단하고, 배터리 보호시스템 내 DC지락 단락 장치(랙 퓨즈)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이유로 전원장치 파손, 전도체 이탈, 외함 타격 등의 이유로 발생한 화재였다고 설명했다. 정부 조사단은 삼성SDI는 랙퓨즈를 타 제품으로 전량 바꾸는 조치를 취했다.

LG화학에 대해서 이훈 의원은 “글로벌 리더기업으로 전 세계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사람들이 사건은 은폐하고 물밑에서 쉬쉬하며 합의를 종용해서는 안될 일”이었다고 개탄했다.

또 이 의원은 “관련 화재가 재발할 때마다 국가경쟁력과 기업의 신뢰는 무너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특정시기 생산된 관련 배터리가 전국에 198개소나 더 있다. 지금이라도 자발적인 리콜을 진행하는 것이 당장의 손해보다 미래의 신뢰와 세계시장을 점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호학 측은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상황으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다만, 당사는 선제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2017년 하반기 남경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가 적용된 사이트에 대해서는 충전율을 70%로 가동 중이며 손실비용에 대해서는 당사가 부담해 사업주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