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지켐생명과학, 인하대와 우주의학 연구개발 MOU 체결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 우주방사선의약연구소(소장 박갑주)는 지난 16일 인하대학교 우주항공의과학연구소(소장 김규성)와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양 기관은 본 업무협약을 기점으로 민간기업과 대학 연구기관,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우주항공의약품의 공동 연구와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 1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방사선 치료제 연구과제로 최종 선정된 바 있다. 공동 연구를 진행한 애리조나 주립대학교(ASU)팀의 Cheryl Nickerson 교수는 2006년 NASA의 우주왕복선 임무에 참가하여 우주 공간 내에서 강력해진 미생물의 독성에 대응할 인류의 생존 방안을 연
2021-04-20 16:44
-
'불가리안로즈' 백선숙 대표...아름다움과 젊음의 상징 '장미'에 70년 향기 담다
붉은 정열과 매혹·아름다움·젊음·건강의 상징 장미. 장미(Rosa hybrida)는 꽃의 아름다운 형태와 향기때문에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해왔으며, 개량을 가하여 육성한 원예종(Rosa hybrida Hort)을 일컫는다. 지금까지 2만 5000종이 개발되었으나 현존하는 것은 6~7000종이며, 해마다 200종 이상의 새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 특유의 향과 지속성, 여기다 풍부한 영양과 효과로 오래전부터 여인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불가리안로즈 다마세나 장미'는 동유럽 불가리아의 카잔락 계곡의 장미마을에서 매년 5월에 수확한다. 불가리아 국영 기업인 '불가리안로즈'는 이 원료로 고급 미용오일을 만든다.본지는 불가리안로즈와 첫눈에 반해
2021-04-12 10:54
-
닥터디퍼런트, 레티날과 레티놀 비교 임상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닥터디퍼런트’는 자사의 대표이사인 이동원 박사가 공동 저자로 참여한 ‘레티날(레틴알데하이드)의 항노화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논문’이 최근 국제 학술지인 JCD(Journal of Cosmetics Dermatology)에 게재되었다고 8일 밝혔다.JCD는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SCI급 화장품 피부 미용 관련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로, 이번에 게재된 레티날과 레티놀 성분의 비교 연구 논문에는 다른코스메틱스의 설립자인 이동원 대표와 연세대학교 피부과학교실 이주희 교수 등이 공동으로 참여했다.연구 대상인 레티날(Retinal)과 레티놀(Retinol) 성분은 화장품으로 사용 가능한 비타민A 레티노이드 성분으로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
2021-03-08 10:42
-
셀레믹스, AI 기반 진단솔루션 기업 AIDX와 MOU 체결
바이오소재 기술기업 셀레믹스(대표이사 이용훈, 김효기)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을 이용한 정밀의료 및 빅데이터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의료진단 솔루션 개발기업인 에이아이디엑스(대표이사 김형용)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유전체 분석기술의 발전에 따라 질환 및 유전형질에 대한 개개인의 특징에 따른 맞춤형 처방으로 진료의 정확도를 제고하는 동시에 의료비까지 절감하는 ‘정밀의료(Precision Medicine)’가 새로운 의료의 패러다임으로 부상한 가운데, 정밀의료의 토대가 되는 NGS기술과 생물정보학(BI, Bioinformatics) 기술에 대해 유럽, 중동 및 아시아 유일
2021-01-13 14:22
-
서울대 공대 이태우 교수팀,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개발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와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University of Pennsylvania) 앤드류 M. 라페(Andrew. M. Rappe) 교수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발광 소재인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세계 최고 효율의 발광 소자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국제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 1월 4일자에 게재됐다.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유기원소, 금속 그리고 할로겐 원소로 구성됐다. 매우 뛰어난 색순도와 저렴한 소재 비용은 물론, 색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태우 교수가 2014년도에 상온에서 세계 최초 가시광 영역 다색 발광 다이오드를 개발한 이후,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2021-01-06 10:14
-
안지오랩, 비만치료제 관련 미국 특허 취득
㈜안지오랩(대표이사 김민영)은 ‘혈관 신생 및 MMP 활성을 억제하는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에 관한 미국 특허를 취득했다고 15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특허의 발명 명칭은 ‘혈관 신생 및 MMP 활성을 억제하는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Fraction of Melissa leaf extract having angiogenesis and MMP inhibitory activiti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출원번호 US 12/609,516)'이다.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취득한 본 특허는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혈관신생 관련 질환인 비만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이다. 고지방 식이(high fat diet, HFD)로 유도된 비만 동물 모
2020-12-15 09:14
-
일반인도 고단백식을 장기간 섭취하면 콩팥기능 감소의 위험 증가
최근 과체중 및 비만을 극복하기 위해 황제 다이어트, DASH다이어트, 지중해식 다이어트, 케토 다이어트 등 다양한 식이요법이 소개되고있으며 이들 요법의 기본은 탄수화물 섭취의 비율을 줄이고 단백질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다. 고려대 구로병원고강지 교수와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 얼바인 대학교의 Kalantar 교수 연구팀은 일반인이 고단백식이를 장기간 섭취하는 경우 콩팥기능의 감소될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하여 고단백식이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콩팥기능이 감소되어 있는 만성콩팥병환자에서는 저단백식이가 권고되고 있다. 그 이유는 단백질의 대사과정에서 만들어진질소화합물과 유기산 및 인산이 콩팥기능이 감소된 경
2020-11-27 16:04
-
하임바이오, 비티원으로부터 50억원 투자 유치 성공
암세포만 굶겨죽이는 4세대 대사항암제 후보물질인 ‘스타베닙’(Starvanip, NYH817100)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하임바이오 (HaimBio, 대표 김홍렬)가 코스피 상장사 비티원으로부터 50억원 투자 유치에 성공하여 암치료제 임상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고 18일 밝혔다.최근 코스피 상장사 비티원은 하임바이오의 주식 397만4천562주를 50억원에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주식 취득 뒤 비티원의 하임바이오 지분율은 21.7%가 되며 주식 취득 예정일은 20일이다.하임바이오 최대주주가 된 비티원 측은 “항암제 사업과 더불어 신약, 줄기 세포, 헬스케어 등 여러 바이오연구 분야에 본격 진출해 회사의 성장동력을 바꾸겠다는 목표다. 비티원은 하임바이
2020-11-18 09:04
-
뷰노, 자사 위암 병리 솔루션 성능 검증 연구, CCR 게재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기업 주식회사 뷰노(대표 김현준)는 세계적인 암 연구 학술지인 임상 암 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이하 CCR)에 자사의 위암병리 인공지능 솔루션 뷰노메드 패스GC AI™(VUNO Med®-PathGC AI™)에 대한 연구를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뷰노의 병리 연구팀과 GC녹십자의료재단이 공동으로 진행한 해당 연구는 전향적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솔루션의 우수한 성능 및 정확도를 입증해 주목을 받았다. CCR은 약 127개 국가, 4만 7천여명의 회원을 보유하며 세계 3대 암학회로 꼽히는 미국 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가 발행하는 공식학술지로서 혁신적인 암 임상연구논문
2020-11-17 10:46
-
셀레믹스·디시젠, 유방암 예후예측 패널 '온코프리' 개발 완료
바이오소재 기술기업 셀레믹스(공동대표 이용훈, 김효기)가 임상유전체 분석 기술기업 디시젠(대표이사 신희철)과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반 유방암 예후예측 다중 유전자 검사 '온코프리(OncoFREE®)'의 개발을 마무리하고,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고 17일 밝혔다.온코프리는 유방암 예후예측과 관련된 179개의 유전자를 검사하는 NGS 제품으로, 셀레믹스 고유의 NGS 타겟 캡처 기술과 리밸런싱 기술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FFPE(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조직 단편)에서 추출한 RNA 검체도 균일하고 정확하게 분석 가능하다. FFPE 검체는 준비 과정에서 품질이 저하되어 분석이 어렵고 까다롭지만, 정확한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평가를 위해
2020-11-17 10:12
-
엠디뮨,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
바이오드론 플랫폼 신약 개발 기업 엠디뮨이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에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은 금융위원회가 5개 정부 부처(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벤처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와 함께 혁신 성장을 이끌어 갈 국가대표 혁신기업을 선정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여러 지원을 하는 사업이다.엠디뮨은 ‘세포유래베지클 기반 차세대 약물 전달 바이오 드론 플랫폼 기술’로 보건산업 분야의 혁신기업 국가대표로 선정됐다.엠디뮨은 다양한 세포에서 세포유래베지클을 압출 공정 방식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독자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세포유래베지클은 엑소좀과 유사한 특성
2020-11-17 09:21
-
넥스모스 “항산화 DNA압타머로 파킨슨병 치료제 가능성 입증”
국내 바이오기업이 DNA 압타머(Aptamer) 원천기술로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에 희망을 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DNA 바이오기업 넥스모스(Nexmos)는 경희대학교 김연정 교수연구팀과 공동으로 개발한 파킨슨병 치료제인 항산화 DNA 압타머 복합체 NXP031를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 적용한 결과, 신경보호 효과를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연구결과는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뉴로사이언스 레터스(Neuroscience Letters)에 10월16일자로 게재됐으며, NXP031이 운동능력과 인지능력을 개선해 궁극적인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파킨슨병은 뇌의 중뇌에 위치한 도파민(dopamine)을 생성하는 신경세포가
2020-10-30 09:01
-
씨앤팜, 코로나19 경구(經口)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코로나19 치료제 1위 후보 약물인 구충제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의 최대 걸림돌인 낮은 흡수율 문제를 국내 바이오기업이 해결하는데 성공, 코로나19 경구(經口) 치료제 출현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현대바이오는 대주주인 씨앤팜이 니클로사마이드 약물의 체내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이는데 성공하고 이를 활용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약물을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당국과 협의를 거쳐 경구용 제제로 허가를 받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고 29일 발표했다. 현대바이오는 씨앤팜이 자사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약물전달체(DDS) 원천기술을 이용해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약물은 동물실험에서 대조군에 투여한 니클로사마이
2020-10-29 09:36
-
[단독] IBK투자증권 지점장의 수상한 투자…지인돈 반토막 내고도 '나몰라라'
증권사 한 간부가 지인들한테 '투자가치가 높은 특정 유망벤처기업이 있는데 투자관리를 맡기면 확실한 수익을 내주겠다'고 약속하며 거액을 유치받았다 큰 손실을 입는 사건이 발생하며 파문이 일고 있다.IBK투자증권 강남 지역 지점장이었던 A씨. 그는 지난 2018년 경 친한 지인들에게 특정기업을 거론하며 "내가 2대주주를 잘 알고 확실한 정보를 알고 있어 투자하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며 자신이 속한 지점 계좌를 개설케 하고 거액을 입금받았다. 이후 그는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며 계좌비밀번호 등 일체의 사항을 위탁받아 진단시약 개발 및 판매를 영위하는 '캔서롭'이라는 2015년 코스닥 상장기업에 일명 '몰빵'투자를 했다. 그러나 2
2020-10-28 15:30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제19회 학술상 수상자 발표… 윤대진·황은성 교수
국내 생명과학 분야 대표 학술 단체인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회장 조진원, 연세대)가 5일 제19회 학술상 수상자를 발표했다.수상 분야는 △KSMCB 생명과학상 △KSMCB M&C 우수논문상 △KSMCB 여성생명과학자상 △KSMCB Presidential Lecture Award 총 4개 부문이다.학회 대표상인 KSMCB 생명과학상에는 윤대진 교수(건국대 KU융합기술원 의생명공학과), KSMCB M&C 우수논문상에는 황은성 교수(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가 각각 선정됐다. KSMCB 여성생명과학자상에는 묵인희 서울대 의대 교수, KSMCB Presidential Lecture Award에는 권용태 서울대 의대 교수가 선정됐다. 수상자들 강연은 10월 5~7일 온라인으로 열리는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20-10-05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