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휴먼클라우드 플랫폼 뉴워커(대표 서미영)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남녀들의 약 60%는 스스로가 트렌드에 민감하다고 생각했다. 최신 트렌드에 얼마나 민감한지 물은 결과 ▲매우 민감하다(11.8%) ▲약간 민감하다(49.1%) ▲대체로 민감하지 않다(34.9%) ▲전혀 민감하지 않다(4.2%)로 각각 나타났다.
트렌드 중 관심을 갖는 분야는 패션(22.6%)이 가장 많았다. ▲영화‧드라마 등 방송(21.2%) ▲부동산 및 재테크(18.1%) 순이었다. 패션은 20대, 영화와 드라마, 예능 등 방송은 30대, 제테크 및 부동산은 4050세대들에게 인기였다.
트렌드를 주로 탐색하는 플랫폼 1위로는 인스타그램(34.3%)이 손꼽혔다. 유튜브(27.4%), TV 프로그램(12.1%)이 각각 2, 3위였다. 연령별로 교차 분석해 추가 확인한 결과, 2030세대는 인스타그램, 4050세대는 유튜브를 선호했다. 이들 모두 최신 트렌드를 발견하기 위해 SNS, 영상 등 온라인 콘텐츠의 도움을 받았다.
SNS를 통해 트렌드에 민감한 자신을 드러내는지 물은 결과 ▲매우 그렇다(13.9%) ▲약간 그렇다(49.1%) ▲대체로 그렇지 않다(26.0%) ▲전혀 그렇지 않다(11.0%)는 답변이 나왔다. 63%가량은 SNS를 통해 자신의 트렌디함을 과시했다.
트렌드를 섭렵하기 위해 노력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63.5%는 그런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 사례로는 ▲SNS에서 유행하는 밈을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해 최신 영상 콘텐츠 검색(76.9%) ▲맛집, 카페 방문을 위해 1시간 이상 기다림(34.6%) ▲인기 공연 또는 전시회 참여를 위해 티켓팅 시도(31.4%) ▲유행하는 브랜드 옷, 액세서리 구매(30.8%) 등이 꼽혔다.
현대인의 최신 트렌드 민감도 및 트렌드-SNS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10~13일 진행된 이번 설문에는 성인남녀 833명이 참가했다. 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3.27%다.
zaragd@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