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재해 근로자의 날은 산업재해에 대한 의식과 산재 근로자 권익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매년 4월 28일로 지정됐다.
울산지역 조선업은 2023년에는 중대재해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으나, 2024년 총 4건이 발생했다. 그러한 가운데 조선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수가 2023년 1만5000여명에서 3만7000여명(2024년 11월 기준)까지 증가해 올해는 산재예방 항해의 키(Rudder)를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에 맞춰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울산고용청과 공단은 먼저, 여름철 폭염에 대비하기 위해 누구든지 쉽게 작업장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온열질환 예방 휴식알리미 스티커를 제작·배포했다. 캠페인 활동으로 외국인 근로자는 직접 외국어로 번역된 스티커를 안전모에 부착했다.
온열질환 예방 휴식알리미스티커는 주변 열환경에 반응해 온도 상승 시 주의·경계·심각 단위로 위험정도가 표시되며, 온도가 내려가면 원색으로 복원돼 재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주요 재해사례를 체험할 수 있는 VR체험과 대표 안전메시지를 전달하는 카드섹션을 통해 다국적 외국인 근로자가 국적을 초월해 산업재해 예방의 중요성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이어진 간담회에서는 HD현대미포에서 근무 연차별 외국인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실시 방안을 발표하고, 현장 외국인 근로자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후 노사정이 함께 외국인 다수 고용 사내 협력사를 순회하며 조선소 내 주요 산재 취약요인인 화재·폭발, 추락위험구역 등을 점검했다.

우용하 안전보건공단 울산지역본부장은 “안전이 우선으로, 근로자의 안전이 어떤 것보다 선행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신용승 기자 credit_v@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