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으로 노화로 인해 연골이나 인대손상으로 40대 이후부터 발병하기 시작하며 50대 이후부터 크게 늘어나기 시작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격렬한 운동 및 비만 인구 증가 등으로 젊은 층에서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주요 초기 증상은 관절 부위가 뻣뻣해지고 염증으로 인한 발열과 관절부위 통증이 나타난다. 다행히 초기에는 물리치료, 주사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완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이 같은 증상을 자연스러운 노화현상이라 생각하고 방치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장기간 방치해 증상이 악화될 경우 극심한 통증 때문에 일상생활조차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평소 무릎관절 건강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관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만약 관절이 제 기능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된 상태라면 인공관절치환술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인공관절치환술은 손상된 관절을 제거하고 특수 금속과 플라스틱으로 된 인공관절을 삽입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은 물론 제한된 무릎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수술법이다.
다만 인공관절수술 후에는 수술 부위 주변 근육 및 인대 등 연부조직들이 약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회복기간 동안 체계적인 재활치료를 통해 관절 가동범위를 확보하고 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때 고려해볼 수 있는 재활치료 중 하나가 도수치료이다. 전문 치료사가 손이나 교정에 필요한 도구를 이용하여 근육, 근막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신경 자극을 통해 틀어진 관절을 바로잡을 수 있어 수술 후 회복에 도움을 준다.
용인서울병원 박원경 병원장은 “인공관절치환술 후에 수술 결과가 좋아도 굳어진 근육과 주변 조직의 회복을 위해서는 도수치료와 같은 재활치료가 필요하다”라며 “도수치료는 수술 후 통증을 완화시키고 근육이완과 관절 범위의 회복을 통해 정상적으로 신체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도수치료는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 후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른 맞춤 처방이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 본인도 치료에 적극적인 태도로 임해야 수술 후 원활한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