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우리은행은 이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고객중심 자산관리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우리은행은 먼저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결정을 존중하고 배상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우리은행은 DLF 사태를 계기로 상품선정, 판매, 사후관리 전 과정에 걸쳐 영업체계를 혁신하고, 인프라와 영업문화, 핵심성과지표(KPI)를 고객중심으로 개편하기로 했다.
가입 신청마갑일 며칠 전에 신청접수를 종료하고 다시 마감일까지 고객이 투자를 고려하도록 하는 고객 투자숙려제도와 보험청약 철회와 비슷한 가입한 지 15영업일 이내에 고객이 손해를 보지 않고 가입을 철회할 수 있는 고객 철회제도를 도립하기로 했다.
또 자산관리(WM)그룹과 신탁연금그룹의 자산관리 업무를 상품조직과 마케팅조직으로 분리해 상품조직에서 고객 중심의 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했다.
프라이빗뱅커(PB) 평가에서는 자격증, 경력뿐 아니라 평판조회를 하는 정성평가도 신설하고 판매할 수 있는 상품도 차등배분하기로 했다.
또 원금손실형 투자상품은 고객별·운용사별로 판매한도를 두고, 자산관리체계가 정비될 때까지는 초고위험상품의 판매를 한시적으로 중단한다
상품 판매 후 고객의 자산관리를 전담하는 고객케어센터를 만들고, 노령층과 같은 금융취약계층은 상품 판매 즉시 해피콜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위험 조기경보, 고객별 투자 이력조회, 수익률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자산관리통합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애주기 자산관리체계를 도입해 연령대별로 상품 라인업과 포트폴리오를 제공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4분기 KPI 평가에서 자산관리상품 관련 내용을 제외하고, 외형실적 위주의 평가방식을 고객 중심으로 바꾸기로 했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