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시민불편 없어야…노사 합의"

이에 서울시는 총파업 돌입에 따른 비상수송대책이 전면 해제되고 열차는 평소대로 운행될 방침이다.
시에 따르면 노사는 6월부터 교섭을 시행했으나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후 노조 측이 10월11일부터 5일 간 준법투쟁을 실시했다.
노조는 16일부터 3일간 시한부 파업을 예고했으나 지속적인 대화를 나눈 결과 파업 당일인 이날 오전 합의점을 찾아 협상을 마무리 했다.
앞서 15일 오후 3시부터 개최된 노사 간 제4차 본교섭이 난항을 겪으면서 노조 측이 오후 9시55분 교섭 결렬을 선언하는 등 진통이 있었다.
하지만 노사는 이후에도 밤새 끊임없는 물밑 대화를 시도했고 16일 오전 7시45분께 성동구 공사 본사 4층 회의실에서 본교섭을 재개해 주요 쟁점사항에 대해 합의점을 찾았다.
합의 주요 내용은 ▲2019년도 임금은 2018년도 총인건비 대비 1.8% 인상 ▲5호선 하남선 연장 개통과 6호선 신내역 신설에 따라 필요한 안전 인력 242명 노·사 공동으로 서울시에 증원 건의 ▲임금피크제 운영 문제 해결 노·사 공동으로 관계기관에 건의 ▲공사 내 여성직원 증가에 따른 근무환경 개선 등이다.
이와 함께 노사는 기관사최적근무위원회와 근무환경개선단에서 권고한 사항에 대해 노사정협의회를 구성해 논의하기로 하는 등 기관사의 안전과 관련한 인력증원도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다만 노사 양측은 양공사 통합시 1029명을 감축하기로 한 노사정 합의사항은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노사 간 합의가 완료된 후 박원순 서울시장이 교섭 현장에 도착해 노사 양측과 인사를 나누고 협상타결을 격려했다.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시민 불편은 없어야 한다는 노·사의 공감대 하에 노동조합과 합의를 체결할 수 있었다"라며 "아직 해결하지 못한 숙제가 많지만 노동조합 및 서울시와 앞으로도 함꼐 협의해 공동으로 현안을 풀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