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뒤쪽의 신경이 지나는 통로인 척추관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좁아지며 신경을 압박하면서 허리와 엉덩이, 다리까지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한다. 이는 선천적으로 척추관 통로가 좁아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주로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병하게 되며 안 좋은 자세와 무리한 운동을 진행할 때에는 젊은 나이에도 퇴행성 변화를 불러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초기 뻣뻣한 느낌과 함께 무지근한 통증이 발생하게 되며 증상이 진행될 수록 걸을 때 혹은 허리를 펴고 있을 때 통증이 발생하게 되고 신경을 누르는 질환이기 때문에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까지 뻗어 나가게 된다. 특히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숙였을 때 척추관 압박이 느슨해지며 통증도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게 되는데 이로 인해 허리를 숙이고 다니는 습관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습관은 통증을 완화할 수는 있지만, 척추 시상 정렬에 변화를 주며 척추 기립근 위축과 척추 후만을 유발할 수 있고 결국 질환 자체를 악화시키거나 허리디스크와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을 발견했을 때는 바로 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포시 가자연세병원 김태현 병원장은 “척추관협착증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풍선 신경성형술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병행하면 더욱더 빠른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풍선 신경성형술은 풍선이 내장된 특수 의료기구를 신경 통로 부위에 삽입하여 협착이 심한 부위에 풍선을 부풀려 협착을 풀어주는 방식으로 척추관 내부가 2~3배까지 늘어나기 때문에 통증 개선에 효과적이다. 특히 이 시술의 경우 절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출혈이 적고 국소 마취로 시술을 진행하므로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빠르고 고령의 환자들 또한 안전한 시술을 기대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리에 앉을 때 기대어 앉거나 다리를 꼬는 자세가 아닌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넣고 허리를 등받이에 붙이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꾸준한 스트레칭과 운동이 필요하다.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김태현 병원장은 “더욱이 예방을 한다 해도 언제든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약 증상이 보인다면 바로 병원에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최대한 질환이 발전하지 않게끔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