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류성 후두염은 위산이 역류하면서 후두에 염증이 발생하는 증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위식도역류질환이 식도를 상하게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후두와 성대에까지 영향을 주며, 쉰 목소리를나게 하는 주범이기도 하다.
증상으로는 목소리가 쉬고, 성량이 감소하며 목 통증이 온다. 따라서, 초기 쉰 목소리가 나타난다면 조기 치료하여 목 통증까지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은 후두와 성대에서 나타나지만 원인 질환은 위장에서 찾을수 있다.
부천 으뜸한의원 박지영 원장(한의학박사)은 “역류질환이 갖는 특성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위산이 역류하는 담음(痰飮)형과 독소가 역류하는 담적(痰積)형이 있다”면서 “담음형과담적형 질환은 모두 불규칙한 식사, 과식과 폭식, 과도한스트레스와 흡연 및 음주 등으로 위 기능이 저하되면서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위산과다에 의해 위산이 역류하여 후두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이 바로 담음형이며, 위산이 부족하여 위속 음식물이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독소가 역류해 후두를 자극하여 나타나는 증상이 담적형에 속한다.
보통 ‘신물이 올라온다’는말을 쓰는데, 이는 위산과다로 인해 나타나는 담음형 질환이다. 일반적으로제산제나 위산분비억제제를 복용하게 되지만 이는 그때뿐 재발이 쉽다. 원인은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이 항진된담음형 환자의 경우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박지영 원장의 설명이다.
당장 위산억제를 통한 대증 치료 보다는, 위장의 연동운동 기능을 회복하여위산의 과다한 분비가 되는 원인을 막아야 재발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담적 독소로 인해 발생하는 후두염이나 쉰 목소리도 결국 위 기능적인 문제가 원인으로 위 기능 회복으로 치료효과를기대할 수 있다. 보통 담적병(痰積病, 담적증)으로도 불리는 담적형 질환은 위산 부족이 주요 원인인데 소화액이부족하기 때문에 위장 속 음식물이 미처 다 소화되지 못하고 남아 부패하면서 독소를 생성하고 역류하거나 전신에 퍼지면서 각종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 중 역류하여 후두와 성대를 자극하는 것이 바로 역류성 후두염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담적병의 경우는 제산제나 위산분비억제제 등을 장기간 복용하게 되면 오히려 위산 부족으로인 한 소화불량으로 증상을더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소화제는 일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소화제를 계속 복용해야하는 습관성으로 굳어질 수 있다.
담적병은 자율신경의 문제로 나타나기도 한다.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교감신경 항진은 위장의 움직임을 떨어뜨려 담음과 담적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자율신경을 안정시키는 치료를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박지영 원장은 “역류성후두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담음형인지 담적형(담적병)인지에 따라 처방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진단이 우선이며, 보통 한의학에서는 자율신경의 안정과 위장 기능의 빠른 회복을 위해 증상과 체질에 따라 담음과 담적을 제거할수 있는 한약 처방을 하고, 증상 정도에 따라 약침과 침치료 그리고 온열요법을 병행하면서 증상 치료와함께 위장 기능을 바로 잡아 재발을 막게 된다”고 설명했다.
박지영 원장은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식이요법과 운동도 강조했다. 위장에부담이 되는 기름진 음식, 자극적인 음식 등을 피해 규칙적으로 천천히 씹어 식사는 습관으로 위장을 편하게해주어야 하며, 또한 규칙적인 운동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여 위장 운동과 자율신경의 안정을 돕는 것도필요하다는 것이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