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에 거주하는 직장인 A씨는 퇴근시간 정체구간 진입 중 앞 범퍼가 일부 파손된 경미한 범퍼 접촉사고를 냈다. 이후 차를 빨리 빼달라는 뒷 차량의 경적 소리에 신체에 뚜렷한 외상이 없고 단지 목이 뻐근한 정도여서 서로 대물 보험처리만 하기로 하고 차량을 이동하였다. 하지만 사고 시일이 경과한 후 교통사고 후유증을 호소하게 되었다.
이처럼 교통사고는 수일 혹은 수개월 지나 통증을 호소하는 등 교통사고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교통사고후유증으로는 차량 충돌로 인해 목이 앞뒤로 흔들리고 꺾이면서 목 통증을 유발시키거나 허리통증, 손발 저림,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A씨처럼 괜찮겠지 하고 방치하다가 통증이 심각해져서 병, 의원을 찾는 경우도 많은데 자칫 교통후유증 만성화로 이어질 수도 사고의 경중을 떠나 가급적 빨리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인해 신체 곳곳에 발생하는 통증과 척추나 경추와 같은 주요 부위 뒤틀림 같은 후유증은 MRI와 X-ray 검사로도 명확한 원인이 나타나지 않을 때가 있다.
한의학에서는 이처럼 알 수 없는 통증에 대한 원인으로 어혈을 꼽고 있다. 어혈이란 한의학적으로 사고 당시 충격으로 체내에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한 곳에 정체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한방에서는 이러한 어혈제거를 위해 한약과 침을 통해 어혈을 풀어주고 염증을 가라앉히면서 치료에 도움을 준다. 또한 추나요법을 통해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척추와 경추, 골반이 틀어진 것을 잡아준다.
세종시 행복경희한의원 이승표 원장은 교통사고후유증은 겉으로 보이지 않은 탓에 치료시기를 놓치기 쉬운 만큼 사고발생시 신체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 조금이라도 증상이 의심된다면 빠른 시간 내에 진단과 함께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하며, 교통사고후유증 치료에 있어서도 육체적인 통증 뿐만 아니라 사고로 인한 정신적인 트라우마까지 고려한 복합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전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