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관 협력으로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 연구개발 및 수요처 발굴

이날 행사에는 하성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분원장 등이 참석해 축사를 전했으며, 일본 협력사인 산신금속의 아라이 세이준 회장은 화상연결을 통해 축사를 전했다.
진코퍼레이션의 ‘인공지능 스마트팜 테스트베드’는 진코퍼레이션 본사 내에 구축된 스마트팜 연구·개발·생산 플랫폼으로, 기능성 식물의 최적 생육환경 데이터를 연구하고, 축적된 데이터로 시생산을 통해 결과를 검증하며 기능성 작물의 대량 생산에 최적화된 생산 시스템을 개발하는 역할을 한다. 50여 평의 규모에 3개의 재배실, 육묘실, 작업장, 견학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와 차단된 밀폐된 시설에서 재배에 위해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고, 재배 환경을 제어해 최적의 식물 재배환경 조건을 갖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코퍼레이션은 자사가 가진 스마트팩토리/ICT 기술, IoT, 데이터게더링, 인공지능, 온습도관리, 공장자동화, 물류 설비, 원격 관리 등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스마트팜 솔루션에 적용하기 위해 2018년 스마트팜 전문 연구소를 설립하고, 국내외의 여러 주체와 협력해 스마트팜 연구개발 및 수요처 발굴을 진행해왔다.
이창희 진코퍼레이션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4차 산업 혁명의 다양한 솔루션들을 체험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쇼룸의 오픈에 이어 이번에는 From Farm to Fork라는 캐치프레이즈로 인공지능 스마트팜 테스트베드 플랫폼을 오픈한다”며 스마트팜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이 대표는 “농촌 고령화에 따른 농업 인구 감소와 안전·안심 먹거리에 대한 요구 증가라는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팜 연구소를 설립하고 산·학·연·관을 아우르는 여러 협력기관, 협력사와 함께 스마트팜을 연구 개발했다”며 “일본과 국내의 실패 사례 등을 통해 스마트팜 사업의 성공에는 작물의 수요·공급 균형이 깨지지 않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기술개발 만큼이나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에도 노력해왔다”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