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가입 위해선 회원국 만장일치 필요
美 의장국 권한으로 단순 초청은 가능
외교부 "G7 초청 문제 언급한 것 아냐"

26일(현지시간) 마스 장관은 현지 매체 라이니쉐포스트와 한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G7 정상회의에 러시아와 다른 나라들을 초청하자고 한 데 대한 질문을 받았다.
과거 러시아는 G8에 속했지만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강제합병 사태로 제외됐다.
마스 장관은 "G7과 G20은 합리적으로 조직된 (별개의) 틀이다. 우리는 G11이나 G12가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그는 러시아가 크림반도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지 않는 한 G8 체제로 복귀할 기회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영국과 캐나다 역시 러시아 참여에 반대했다.
지난달 영국 총리실 대변인은 "G7 회원 자격에 관한 결정은 만장일치로 이뤄져야 한다"며 러시아 복귀를 추진한다면 반대하겠다고 밝혔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러시아가) G7 바깥에 남아 있고 계속 그래야 하는 이유는 국제 원칙과 규범에 대한 지속적인 무시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들 국가는 한국을 러시아처럼 명백한 보이콧 대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G7과 G20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어 G7 확대에 긍정적인 입장은 아닌 것으로 해석된다.
G7에 새로 가입하려면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 등 모든 회원국 간 만장일치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이미 일본 정부는 우리나라 등이 참여하는 G7 확대방안에 강한 반대의사를 나타낸 바 있다.
G7 국가들이 체제 전환에 반대한다고 해서 한국의 G7 정상회의 참가 자체가 불가능한 건 아니다.
의장국은 G7 정상회의에 비회원국을 옵서버(참관국) 자격으로 초대할 수 있다. 올해 의장국은 미국이다.
청와대는 G7 확대 문제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들은 23일 "G7 정상회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우리의 참여 방향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마스 장관 인터뷰 내용과 관련, "G7 정상회의 초청 문제를 언급한 것이 아니며 한국에 대한 언급도 없다"고 밝혔다.
또 "G7 확대에 대한 독일의 일반적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이해되며 G7의 구조적 확대 문제는 기존 회원국들간 합의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현재 G7 구성이 매우 시대에 뒤떨어졌다면서 G7 정상회의에 한국,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하겠다고 말했다. 여기에 브라질도 포함해 G12로 확대하는 구상도 나왔다.
이를 두고 미중 신냉전 구도가 굳어지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반(反)중 전선을 구축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