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HD는 우리말로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다. 아동기에 발병 비율이 높으며 보통 나이가 들면서 점차 완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청소년과 성인 ADHD 사례도 적지 않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성인 ADHD 환자는 자신이 ADHD라는 사실을 모를 때가 많다. 이는 자연스럽게 낫는 것을 기대하며 ADHD 아동을 방치해 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성인이 되면서 과잉 행동이 없어지는 것 같지만 몸 어딘가에 남아 있게 된다.
과거에는 아동의 ADHD 원인을 환경이나 심리적 요인으로 인식해 부모들은 본인의 양육 방법이나 성격 등을 탓하며 자책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뇌신경학적 요소에 의해 발병한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특히 신경학적 문제가 심한 틱장애, 특히 뚜렛증후군이 나타난 이후에 ADHD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의심 증상이 있다면 발병 원인을 찾아 적절한 치료가 진행돼는 것이 중요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치료 계획을 세워야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한의원에서는 개인별 신체상태, 체질, 증상 등을 고려한 다양한 한방 치료를 적용하고 있다. 한약 처방과 해독치료, 중화치료 등과 함께 잘못된 생활습관 및 식습관 교정을 병행한다. 단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치료 계획을 세워 꾸준히 치료해야 한다.
김영록 김영록한의원 원장은 ”ADHD는 전 연령대가 겪을 수 있는 증상으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며 "치료를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는 만큼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통한 맞춤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