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중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디스크와 증상 비슷해 환자 스스로 구별해내기 어려울 수 있지만 디스크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누르는 허리디스크와는 발생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허리디스크의 경우 허리를 굽힐 때 통증이 심해지고 허리를 펴면 통증이 완화되는 반면 척추관 협착증은 반대로 허리를 펼 때 통증이 심해지고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완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주로 퇴행성 변화로 후관절, 황색인대 등 척추관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조직이 점차 두꺼워지거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점점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해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갑작스럽게 발병하기보다 40대전후부터 서서히 진행되다가 50-60대에 점차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또한 척추관 협착증에서 주목해야할 증상 중 하나가 간헐적 파행이다. 이는 오래 서있거나 걸을 때 점점 엉덩이 부근이 뻐근해지고 다리 저림이 생겨, 오래 걷지 못하고 앉아서 쉬게 되는 증상을 말한다. 이 밖에 다리가 아프거나 발끝이 저려서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심한 경우 감각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문제는 병 진행이 급성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서서히 증상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곧 나아지겠지'라는 생각으로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환자가 많다는 점이다. 하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마비증상이나 대소변 장애까지 이어질 수 있어 되도록 빠른 치료를 받는 게 좋다.
광명21세기병원 조철환 원장은 “척추관 협착증은 중장년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초기에는 약물치료, 주사치료, 운동치료 등 보전적 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키고 약해진 척추인대를 강화함으로써 증상호전을 기대해볼 수 있는 반면에 통증이 심하고 걷기 어렵다면 가느다란 카테터를 꼬리뼈를 통해 유착된 통증부위를 풍선으로 공간을 넓히고 약물을 주입해 염증을 가라앉히는 풍선확장술과 같은 시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치료와 함께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칭 등을 실시하는 등 예방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