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증상은 내부 수핵이 탈출하여 척추 주변 신경을 자극해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발 저림, 하지방사통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척추 주변 신경 대부분이 하지와 연관돼 있어 허벅지, 종아리, 발끝 등의 이상 증세를 야기하는 원리다.
허리디스크 치료는 이러한 수핵을 제거하고 추간판을 정상화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보통 척추 내구도를 강화하고 탈출한 수핵을 태워 없애는 비수술 요법을 강구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치료 이후 여전히 허리 통증 및 하지 이상 증세를 경험하는 사례가 많다. 이로 인해 외과적 수술을 재차 고려하기도 한다.
만약 허리디스크 치료 후 증상이 재발한다면 척추 주변 인대 및 근육의 내구도 저하를 의심할 수 있다. 척추 주변 인대는 전방의 복부 인대 대비 내구성이 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척추뼈 주변 인대는 외상, 무리한 스포츠 활동 등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만약 손상된 추간판만 치료한 채 이러한 인대 이완을 방치한다면 허리디스크 재발로 이어질 수 있다. 척추체 지지 기반이 약해져 척추 불안정성 및 추간판 탈출 재발을 일으킬 수 있다.
무엇보다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보내는 현대인 특성 상 척추 주변 인대가 약해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만큼 허리에 만성적인 통증을 가지기 마련이다. 허리에 부담이 되는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 추간판 뿐 아니라 척추 주변 인대, 심부근육도 약해진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허리디스크 초기 환자라면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한다. 하지만 비수술 치료로도 호전되지 않거나 인대가 약해져 통증이 심각해 일상생활이 불가한 상태까지 온다면 수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허리디스크 수술 방법으로 경막외 신경성형술, 미세 현미경 추간판 제거술 등이 있다. 경막외 신경성형술은 척추 꼬리뼈 부위에 초소형 카테터를 삽입 후 통증 원인이 되는 신경에 약제를 주입하여 통증을 제거하는 치료다. 미세 현미경 추간판 제거술은 2cm 정도의 피부 절개를 통해 돌출된 추간판을 제거하여 신경 압박을 치료하는 수술이다.
강지인 분당 서울나우병원 원장은 “환자마다 증상과 정도가 다른에 디스크 탈출 조기 발견 시 비수술 치료를 통해 증상을 충분히 호전시킬 수 있다."며 "다만 무조건적으로 수술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비수술적 치료로 먼저 호전을 시키도록 한 후 근원 치료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수술을 진행하는 점진적인 과정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