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HOME  >  산업

광명·시흥특별관리지역, 주민이 만든 개발 마스터플랜 발표

입력 2020-12-28 15:36

융합형 도시, 지속할 수 있는 자족도시, 공유형 도시, 워커블시티

마스터플랜 초안
마스터플랜 초안
[비욘드포스트 강기성 기자] 경기 광명·시흥특별관리지역 지역주민들이 도시개발전문가의 협업으로 완성된 개발도시계획 초안과 마스터플랜을 28일 광명시 내 마을회관에서 밝혔다.

주민들은 광명시와 시흥시 경기도 국토부 등 인허가 관련청에 이 마스터플랜을 제안하여 수용을 촉구해 나갈 계획이다. 주민들은 자력으로 대규모 도시계획 마스터플랜을 짠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주민들은 마스터플랜이 ▲융합형 도시 ▲지속할 수 있는 자족도시 ▲공유형 도시 ▲워커블시티(보행 중심도시) 등의 4가지 특징을 갖는디고 설명했다.

융합형도시란 토지 용도 구분에서 벗어나 주산(住産)복합 배치를 도입하고 광명·시흥특별관리지역이 갖는 지형지물에 융합해 목감천을 중심으로 수변도시를 배치한 것을 말한다.

벨기에 브뤼셀 등 유럽 주요 도시가 외곽으로 추방했던 공장을 유치하기 위해 아래층은 공장, 위층은 주거용으로 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사례를 참고해 용도 융합형 자족도시, 지속가능 도시의 개념을 도입했다는 게 전문가 측의 설명이다.

또 도서관을 주민과 학교가 공유하는 것과 같은 방식의 공간 배치를 통해 교육·복지·문화 등 공공시설을 공공기관만 독점하는 게 아니라 지역주민과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가로세로 500m 이상 대형 블록에 폐쇄형인 기존 한국의 아파트 배치를 탈피해 공동주택 블록 크기를 60m×120m 정도로 소형화하고, 이같은 소형 블록 9개를 묶어 차량 통행은 그 외부로만 하고 내부 가로는 보행자 우선(워커블) 통행로의 도시를 구현했다.

협업을 이끌어 낸 윤승모 광명시흥개발추진연합회 대표는 “이 같은 마스터플랜에 대해 지난 12일 광명시 측에 1차 예비 설명을 했으며, 다른 인허가청에도 이를 적극 제안하여 수용을 촉구할 것”이라며 “우리 제안의 기본 개념이 인허가청에 의해 수용되면 각 취락구역별 정비사업 추진을 시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광명·시흥특별관리지역 지역주민들이 도시개발전문가의 협업으로 완성된 개발도시계획 초안과 마스터플랜을 28일 광명시 내 마을회관에서 밝혔다.
경기 광명·시흥특별관리지역 지역주민들이 도시개발전문가의 협업으로 완성된 개발도시계획 초안과 마스터플랜을 28일 광명시 내 마을회관에서 밝혔다.
광명·시흥특별관리지역은 KTX 광명 서부 역세권에 위치한 핵심 요지로, 공공 주택법에 의해 2025년까지 개발이 유보돼 있으나 시한 도래에 따라 조만간 개발추진이 불가피한 지역으로 꼽힌다.

지역 내 개발 가능 면적은 1000만여㎡ 규모이며, 관련법에 따라 이 중 취락 지역(광명 9, 시흥 5개소)에 대해서는 주민참여 촉진을 위해 환지 방식을 원칙으로 도시개발을 추진하도록 규정돼 있다.

광명 주민대책위는 취락별로 개발추진위를 구성하고, 토지주 과반수의 개발 동의를 받아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개발시행을 의뢰했으나, LH가 가부 태도 표명을 회피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책위는 시간만 지체함에 따라 주민 자력 사업 시행을 전제로 5개 마을이 참여하는 광명취락구역공동체를 별도 결성하고, 자금과 지식 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외부 민간 세력과의 협업을 추진해왔다.

특히 2009년 6월 건축·도시개발 등 전문가 그룹과 협업하여 광명·시흥특별관리지역 전체에 대한 개발마스터플랜 성안 작업을 추진했다. 시흥 2-1, 2-2구역 개발추진위가 동참, 광명·시흥개발추진연합체를 구성했다.

한편 광명·시흥 특별관리지역은 2010년 3차 보금자리주택 지구로 지정됐지만 주택경기 침체와 공급 과잉 우려, LH의 자금난 등으로 개발이 중단됐다.

come2kks@gmail.com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