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과거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어겨졌던 허리 디스크 환자들의 평균 연령대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이는 활동량이 줄어든 반면 업무나 학업 등 일상생활에 있어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하는 등 생활습관의 변화를 꼽을 수 있다.
장시간 앉은 자세를 지속할 경우 척추는 지속적인 하중으로 압박이 가해지고 이때 습관적으로 취하는 잘못된 자세가누적되어 다양한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여기에 외부의 충격이나 신체활동,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 등 일상 속 다양한 행위에 반복적인 손상이 쌓여 결국 허리 디스크와 같은 다양한 척추 관련 질환에 취약한 상태로 변하게 된다.
허리 디스크 증상으로는 허리에 발생하는 통증인 요통과 엉덩이와 다리까지 퍼져 나가는 하지 방사통이 대표적이다. 이는 엉덩이부터 시작해 다리를 지나 발가락까지 저림 증상이 나타나고 감각이 저하되며 허리를 굽히거나 숙이면 통증이 심해진다.
문제는 이를 단순통증으로 간과하거나 허리를 펴게 되면 통증이 잠깐 동안 사라지는 경우가 있어 이를 대수롭지 않게여기는 이들이 많은데, 자칫 이를 방치할 경우 추간판을 등쪽 방향으로 탈출시키는 힘이 지속적으로 가해져추간판 수핵 탈출의 정도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허리 디스크 초기의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개선이 가능하다. 대표적인치료로는 약물치료, 주사치료에 더하여 물리치료, 도수치료, 재활 운동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해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쳤거나 보존적 치료로 기대만큼의 결과를 볼 수 없을 때는 국소마취를 통해 비교적 간단히 시행이 가능한 요추부 경막외 감압 신경성형술 혹은 고주파 수핵감압술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심신이 쇠약해 수술적 치료가 부담스러운 고령의 환자나 만성질환자들과도 같은 환자들도 부담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이마취통증의학과 김종일 대표원장은 “고주파수핵감압술의 경우 탈출된 디스크 부위에 고주파 열에너지를 가해 디스크를 응축시켜 눌려 있는 신경만을 선택적으로 감압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신경 손상 우려를 줄이고 매우 효과적으로 신경 압박을 해소하여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치료후 허리 디스크가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 및 관리에 주의가 필요한데, 허리 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평소 허리에 부담을 주는 자세 및 행동을 지양하고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는 직장인의 경우라면 한 시간마다 자리에서 일어나서 근육을 풀어주는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허리의 부담을 줄여주고, 평소 가벼운 근력 운동이나 조깅, 수영 등의 유산소운동을 꾸준히 한다면 척추 주변 근육과 인대를 강화해서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