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ad

HOME  >  금융·증권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휘어지는 허리, 척추측만증 위험 높여

입력 2021-03-22 09:00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휘어지는 허리, 척추측만증 위험 높여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면서 외출은 줄어든 반면 집에서 머무는 시간은 길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활동 반경이 좁아 들면서 움직임이 줄어 몸의 균형이 틀어지고 면역력이 약해지는 등 건강관리에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그중 직장인 수험 준비생 등 책상에 장시간 앉아 있는 이들의 경우 자기도 모르게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이는 자칫 척추의 변형을 일으키기 쉬워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장시간 다리를 꼬거나 팔을 괴는 행동,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 시 몸을 쭉 뻗는 동작 등을 지속할 경우 관절에 더욱 큰 하중을 가해 척추변형 위험을 높이는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가 척추측만증이다.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정상적인 각도에서 벗어나 S자 또는 C자 형태로 휘어진 상태를 말한다. 크게 선천적인 ‘특발성 측만증’과 후천적인 ‘기능성 측만증’으로 나누어지는데, 현대인들의 경우 구체적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특발성 측만증보다는 잘못된 자세나 외부의 충격이 원인이 되는 기능성 측만증의 발생이 많다. 이는 문제가 생긴 초기에 자세를 교정하고 척추를 바로 세우면 비교적 쉽게 회복될 수 있지만 방치할 경우 휘어짐의 정도가 심각해지면서 만성적인 통증과 2차적인 척추질환을 유발하게 되어 큰 고통을 줄 수 있다.

척추측만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등이 굽어있거나 바르게 서 있어도 자세가 틀어지게 보이거나, 양쪽 어깨의 높이가 다르거나 여성의 경우 유방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특히 자주 신는 신발의 밑창이 한쪽만 닳거나, 치마나 벨트가 한쪽으로만 자꾸 돌아가는 상황이 목격된다면 척추측만증을 의심하는 것이 좋다.

문제는 이러한 척추측만증이 초기에는 통증이 거의 없거나 적기에 쉽게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척추는 더욱 휘어지게 되는데, 정도에 따라 갈비뼈, 어깨높이, 골반의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척추측만증이 의심된다면 조기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평소 올바른 생활습관과 허리의 긴장을 풀어주는 스트레칭 등을 통해 이를 예방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본 힘정형외과 이은용 대표원장은 “자세와 체형의 교정, 척추의 휘어짐을 교정하는 것에는 다양한 치료법이 있지만, 그중 손과 다양한 소도구를 활용하여 전문 치료사의 물리적인 힘을 통해 치료하는 도수치료를 뽑을 수 있다”며, “척추와 관절을 원래의 자리로 되돌려 통증의 개선과 자세 및 체형의 교정까지 가능하며, 수술적 치료와는 다르게 절개가 필요하지 않고 약물의 사용 없이도 근본적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라고 전했다.

또한, “마사지, 근막 이완, 정형 도수 요법, 천골 두개 치료, 두개 천골 치료, 관절가동 기법, 테이핑 요법, 척추 도수 요법 등 다양한 치료를 병합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라고 전했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