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ad

HOME  >  금융·증권

허리디스크, 젊은층도 구부러진 자세로 충분히 발생할 수 있어

입력 2021-03-23 09:00

허리디스크, 젊은층도 구부러진 자세로 충분히 발생할 수 있어
[비욘드포스트 이순곤 기자] 현대인들의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의자에 앉아서 등을 구부정하게 구부린 채 고개를 숙여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 목과, 허리 등에 통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잘못된 자세는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키고, 소위 굽은 등, 일자목, 거북목과 같은 척추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런 자세가 수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목디스크, 허리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허리디스크는 과거 40-50대 층의 대표적인 척추질환으로 알려질 정도로 노화로 인해 생기는 퇴행성 변화가 가장 큰 발병 원인이었지만, 최근에는 젊은층 사이에서도 구부정한 자세처럼 잘못된 생활습관 및 자세로 발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허리디스크란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 존재하는 구조물인 추간판(디스크)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탈출하거나 파열되어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이때 탈출한 추간판이 주변 척추의 신경을 자극하거나 압박하게 되면 여러 신경학적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이러한 허리디스크의 증상은 크게 허리에 나타나는 요통과 주변 척추에서 느껴지는 방사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허리를 통해 엉덩이까지 퍼지는 통증이 대표적이며, 병이 진행될수록 허벅지와 다리, 발바닥까지 저리고 당기는 증상과 함께 하체 전반적으로 감각이 없어지기도 한다. 만약 이와 같은 증상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상태를 진단 받고, 조기에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허리디스크로 정형외과에 내원하게 되면 기본적인 문진표 작성과 함께 근력 약화나 감각 이상, 반사 작용의 이상 등을 전반적으로 파악하여 가장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게 된다. 통증 초기에는 비수술 치료인 약물치료나 주사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을 통해 상당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치료에도 2-3주 동안 통증이 호전되지 않고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허리통증이 발생한다면 수술적 치료인 척추내시경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척추내시경 수술은 허리에 약 7mm 정도의 채널 2개만을 사용하여 허리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디스크나 비후된 인대, 뼈 등을 제거해 통증을 완화시키는 최첨단 방법으로 최근 주목 받고 있다. 이는 평균 2-3일 정도의 입원기간 동안 허리보조기를 착용해야 하지만, 절개 부위가 작은 편이라 별도의 흉터가 생기지 않고, 퇴원 후 원활한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마취통증의학과를 통해 안전한 척추 마취로 진행되어 전신 마취가 힘든 고령층이나 만성 질환자들도 안심하고 받을 수 있다.

김포 가자연세병원 김태현 병원장은 “허리 통증이 발생하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척추관협착증으로 생각하고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세우거나 뒤로 젖힐 경우 통증이 생기지만, 허리디스크는 허리를 숙일 경우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허리디스크는 치료시기를 놓친다면 하체의 감각이 떨어져 심할 경우 대소변 장애와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허리 통증이 평소와 다르다고 느껴진다면 가급적 빨리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김 원장은 "많은 사람들을 괴롭히는 허리디스크를 사전에 예방하려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리를 꼬거나 엎드려 자는 습관은 자제해야 하고, 장시간 한 자세를 유지할 경우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을 해주면서 쌓인 부담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또한, 허리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꾸준하게 척추 운동을 하는 것은 척추 건강을 지키는데 효과적이다."고 덧붙였다.

news@beyondpost.co.kr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