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빈소에는 송용덕 롯데지주 부회장과 정몽규 HDC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등이 빈소를 찾았다. 특히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으로 수감 중이라 부득이하게 조화로 고인을 애도했다.
고인 입관식은 28일 오후 12시30분부터 2시까지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서 진행했다. 부인인 김낙양 여사는 오전 11시40분께 모습을 나타냈다. 고령인 탓에 빈소를 지키지 못하고, 입관식에만 참석한 것으로 보인다.
고인의 막내사위인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은 이틀째 빈소를 지켰다. 신동원 농심 부회장과 신동윤 율촌화학 부회장, 신동익 메가마트 부회장, 신현주 농심기획 부회장 등과 함께 조문을 받았다.
서 회장 첫 째 딸인 서민정 뷰티영업전략팀 과장·홍정환 부부도 고인 마지막 가는 길을 배웅했다. 홍씨는 홍석준 보광창업투자 회장 큰 아들이다.
이날 눈에 띄는 일은 롯데가 조문이다.
故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과 故 신춘호 회장은 라면사업을 진출하는 과정에서 사이가 틀어져 이후 서로간 왕래는 물론 선친의 제사를 따로 지낼 정도로 갈등의 골이 깊었기 때문이다.
송용덕 롯데지주 부회장은 이날 오전 빈소를 찾았다. 황각규 전 룻데 부회장은 빈소가 차려지기 전인 전날 오전 빈소를 다녀갔다. 조카인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신동주 SDJ코러페이션 회장은 일본에 체류, 전날 조화로 고인을 애도했다. 특히 신동빈 회장 조화는 고인 영정사진 옆에 위치하면서, 농심과 롯데그룹이 반세기 동안 이어온 갈등을 풀고 화해의 장을 열 것이라는 의견이 크다.
정몽규 HDC 회장은 오후 1시20분께 빈소를 방문했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이 연이어 빈소를 방문했다.
고인을 애도하기 위한 조화도 이어졌다. 이날 오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조화가 도착했다. 이 부회장 화환은 빈소 맨 앞에 세워 놓았다. 전날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비롯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허창수 GS 명예회장,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함영준 오뚜기 회장, 최은석 CJ제일제당 대표 등도 조화를 보냈다.
고인은 전날 오전 3시38분 지병으로 별세했다. 4일장으로 발인은 30일 오전 5시다. 한남동 자택을 거쳐 농심 본사에서 영결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장지는 경남 밀양 선영이다.
kingheart@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