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는 백내장 수술을 제때 시행하지 않고 방치하는 안타까운 사례가 많다는 점이다. 단순 노화 현상으로 치부하여 숙명으로 받아들이는 경우, 약국에서 약을 구입해 복용만 하는 경우, 외과적 수술이 두려워 차일피일 미루는 경우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백내장의 경우 발견 즉시 수술을 필요로 하는 질환은 아니다. 치료가 급하지 않거나 환자 개인 스케쥴 상 치료 날짜를 정하기 어렵다면 백내장 수술 계획을 잠시 뒤로 미뤄도 무방하다. 백내장 병증은 보통 초기, 미숙, 성숙, 과숙 단계로 나뉘는데 안과 전문의 판단 아래 미숙 단계 그 이상을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백내장 수술 적기를 미숙 백내장까지 국한하여 정의할 수 있는 셈이다.
만약 성숙백내장에 다다를 경우 안구 내 수정체가 탁해질 뿐 아니라 점점 부피가 커지고 딱딱해진다. 백내장 수술은 정밀 검사 후 수정체 개방 과정부터 시작하는데 이때 혼탁해진 수정체 조직을 초음파로 분쇄한 후 흡수하는 원리에 의해 이뤄진다. 이를 초음파 유화술이라고 부르는데 백내장 초기 또는 미숙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시행 가능한 것이 핵심이다. 초음파 유화술 후 인공수정체를 삽입하여 혼탁해진 시력을 정상화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백내장 성숙, 과숙 단계라면 혼탁해진 수정체가 딱딱해져 초음파 흡입이 어려워진다. 뿐만 아니라 방치된 수정체가 안구 내에서 염증을 일으켜 포도막염 발병을 부추길 수 있다. 또 수정체가 부풀며 안압을 상승시켜 시신경 손상 및 녹내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백내장 미숙 단계 내에서 치료 타이밍을 확보해 실천하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이다.
강남큐브안과 윤상원 대표원장은 "초음파 백내장 수술 방법은 수술 중 각막에서 발생하는 열과 각막 부종 발생 가능성이 낮아 통증을 최소화하고 수술 시간이 짧아 회복이 빠른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고령층 외과적 수술 부담을 낮추는 것이 특징"이라며 "마취 상태에서 산동제를 넣어 동공을 확대시킨 후 백내장을 제거하기 위해 최소한의 절개를 시행한 다음 초음파 기구로 수정체를 작게 분쇄한 뒤 흡입 장치로 제거해 수정체낭 대신 인공수정체를 삽입함으로써 마무리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