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으로 인해 주변의 뼈와 인대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주의해야 하는 질환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초기에는 걷거나 뛸 때 시큰거리는 통증이 생기고, 질환이 진행될수록 무릎이 부어 오르거나 움직일 때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타난다.
문제는 초기에 통증이 심하지 않아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다가 상태를 악화시키는 이들이 많다는 점이다. 자칫 방치기간이 길어질 경우 진행 속도가 더욱 빨라져 가만히 있을 때도 통증이 나타나거나 다리 모양이 변형되면서 보행 장애로 이어지기도 한다.
만약, 연골이 닳아 없어진 상태라면 손상된 관절을 절개하고 안전한 성분으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인공관절치환술’과 같은 수술적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인공관절치환술’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 전체를 대체하는 전치환술과 일부만 교체하는 부분치환술로 나누어진다.
전병호 김포 가자연세병원 병원장은 "무릎 통증은 살면서 한 번쯤은 겪게 되는 흔한 통증이지만, 지속적으로 통증이 심해진다면 ‘퇴행성관절염’을 의심해봐야 한다”며, “’퇴행성관절염’은 증상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며, 초기에는 생활습관 개선이나 자세교정, 도수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치료를 시작하는 게 좋다”고 전했다.
특히, “‘인공관절치환술’은 단순히 인공관절을 교체하는 작업이 아니다”라며, “환자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한 최적화된 관절운동 범위를 설정해 손상된 관절 주변의 인대 및 관절막 등의 연부조직과의 균형을 세밀하게 보정해야 더욱 완성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숙련된 의료진을 통해 수술을 진행하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