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의 뿌리 부분이라 불리는 제1중곡골이 발의 안쪽으로 튀어나와 엄지발가락이 새끼발가락 방향으로 변형되는 질환을 말한다. 이는 외관상의 문제도 초래하지만, 신발을 신었을 때 신발과의 마찰로 인해 통증을 초래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튀어나온 부위의 통증이며, 이와 함께 두번째 발가락이 엄지발가락 윗부분으로 올라타는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엄지발가락이 본래의 기능을 다 하지 못해 굳은 살이나 티눈이 발생하기도 하며, 정도가 악화될수록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경운 척편한병원 원장은 “비교적 변형이 심하지 않은 무지외반증 초기에는 일정 기간 보조기를 착용하는 정도의 보존적 방법으로도 충분히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며 "하지만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무지외반 교정 절골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지외반 교정 절골술이란 튀어나온 뼈를 바로잡아 뼈의 변형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주변 인대와 근육, 그리고 관절낭 등을 정렬해주는 교정술을 말한다. 이는 약 100가지 정도의 방법이 존재하며,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는 맞춤 수술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김경운 원장은 “무지외반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굽이 낮고 앞코가 넓은 편한 신발을 착용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또한 틈틈이 스트레칭을 통해 발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