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케미칼은 25일 이사회를 열고 포스코그룹과 화유코발트가 중국에 운영중인 양극재 및 전구체 합작법인의 생산라인 증설을 위해 총 281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양극재는 배터리 4대 핵심소재 중 하나다. 배터리 성능과 용량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재료다. 배터리 제조 원가의 40%를 차지한다. 전구체는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의 원료를 배합해 제조하는 양극재 중간재다.
합작법인은 각각 연 3만톤 규모 양극재와 전구체 생산라인을 건설해 생산능력을 3만5000톤으로 확대한다. 올 하반기 공장 건설에 착공해 2023년부터 전기차용 하이니켈 양극재를 생산할 계획이다. 양극재 3만5000톤은 60kWh급 전기차 배터리 약 39만대에 사용될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와 화유코발트는 2018년 3월 중국 저장성 퉁샹시에 양극재 생산법인 절강포화와 전구체 생산법인 절강화포를 설립한 바 있으며, 현재는 각각 연 5천톤 규모의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 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의 주요 배터리사들은 올 상반기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43%를 점유했다. 중국은 포스코케미칼이 작년 한해 동안 이차전지소재 매출의 48%를 거둘 만큼 중요한 전략 시장이다.
포스코케미칼은 대형 배터리사가 밀집한 중국에서 양극재를 직접 생산하고 판매함으로써, 수요 적기 대응과 고객사 확대의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합작법인에서 생산한 양극재는 중국 현지 배터리사와 중국에 진출한 한국 배터리사 등에 공급된다.
특히 포스코케미칼은 전구체 생산공장 증설을 통해 양극재 핵심 원재료의 수급 안정성과 내재화율을 높이고 화유코발트와의 파트너십도 강화한다. 화유코발트는 전 세계 코발트 1위 회사로 다수의 이차전지소재 원료 광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약 4만톤의 코발트를 생산하고 있다.
포스코케미칼 민경준 사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투자 속도를 더욱 높일 것”이라며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동시 사업의 시너지와 포스코그룹 차원의 원료 확보 등 차별화된 사업 역량을 갖춘 소재사로서 글로벌 권역별로 재편되고 있는 배터리 산업 밸류체인을 선도하는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ingheart@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