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광염은 방광이 세균에 감염돼 염증 반응을 일으켜 발병하는 질환이다. 특히 여성 환자 비중이 높은데 이는 요도가 짧은 신체적 특징에 기인한다. 요도가 짧아 방광을 일으키는 대장균, 포도상구균, 장구균, 협막간균 등의 침투가 쉽게 이뤄지는 것이다.
요실금은 본인의 조절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저절로 배출되는 증상이다. 요실금 역시 방광염과 마찬가지로 여성들에게 흔한 증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는 출산 등의 요인으로 비뇨기 구조가 점차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아울러 갱년기를 맞이한 여성이 호르몬 영향으로 골반기저근의 저하를 경험하며 요실금을 겪기도 한다.
실제로 출산, 호르몬 분비 저하 등이 나타날 경우 요도를 지지하는 근력 구조가 약해지는데 이는 곧 복압성 요실금의 원인이 된다. 복압성 요실금은 기침 또는 재채기를 했을 때, 운동을 할 때, 웃을 때 자신도 모르게 배에 힘이 들어가는 경우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다수의 방광염, 요실금 환자들은 진료 과목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비뇨기과 진료과목에 대해 남성 진료를 위주로 실시한다는 편견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분명한 점은 여성 역시 비뇨기과를 방문해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비뇨기과는 남성 생식기관과 요로계 문제와 더불어 여성의 요로 질환 및 성기능 장애까지 다루는 진료과목이다.
방광염을 정밀하게 검사하는 방법으로 문진 및 신체검사, 소변검사 및 소변 균 배양검사, 항생제 감수성 검사, 방광내시경 검사 등이 있다. 이후 환자 상태에 따라 항생제 약물 치료, 바이오피드백, 방광 내 약물 주입 요법, 헌너 궤양·구상화 병변 치료, 방광수압확장술, 방광 보톡스 주입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나아가 방광염 재발을 낮추는 방광염 면역 증강 치료, 행동교정요법 등을 실시한다.
요실금 환자는 신체검사 및 요검사, 요역동학검사, 요배양검사, 방광경검사 등을 실시하여 증상을 정확히 진단한 후 약물치료, 전기자극치료 등의 비수술 요법과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골드만비뇨기과 잠실점 이종우 원장은 "비뇨의학과 전문 분야로 여성의 신장, 방광, 요관 및 요도 진료를 포함해 여성 요실금, 방광염, 신우신염 등 요로감염 등이 꼽히는데 이와 함께 과민성 방광, 간질성 방광염, 질염 등의 질환 진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방광염은 재발이 잦은 질환으로, 치료 후에도 확인 검사 및 생활관리를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