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히 현기증이라고 하는 어지럼증은 대개 일시적인 현상인 경우가 많다. 눈 앞이 하얘지거나 깜깜해져요, 핑 돌아요, 쓰러질 것 같아요, 라고 표현되는 어지럼증이다. 앉았다 일어나거나 갑자기 움직일 때 주로 발생하는데 혈압이 떨어지거나 뇌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서 생기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 기립성 저혈압, 탈수, 미주신경성 실신 등이 있으며, 부정맥이나 판막질환 같은 심장질환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반복적으로 이러한 양상의 어지럼증이 나타난다면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자신이나 주위가 빙글빙글 도는 것과 같이 느껴지는 어지럼증은 현훈이라고 한다. 흔히 메스꺼움, 구토 증상이 같이 나타나는데 심한 어지럼증으로 응급실을 찾는 원인 중 하나이다. 현훈은 귀속의 전정기관, 전정신경에 문제가 생기거나 뇌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될 수 있는데 말초성과 중추성의 감별이 중요하다. 말초성 현훈은 귀 안쪽(내이)에 위치한 전정기관에 문제로 발생되는 어지럼증으로 이석증이 대표적인 질환이며,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또한 이에 해당한다. 중추성 현훈은 뇌졸중, 뇌종양 등 뇌질환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어지럼증 외에 편마비, 감각장애, 시야장애 등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들이 동반되며, 발견 즉시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
걸을 때 술에 취한 것처럼 휘청휘청 걷게 되거나 균형을 잡기 어려운 느낌의 어지럼증은 균형감각 및 이를 조절하는 뇌에 문제가 생긴 경우 발생된다. 우리 몸의 균형은 시각과 평형기관(귀), 촉각을 통해 들어온 정보를 뇌에서 통합하고 분석하며 유지되는데 이중 한군데라도 이상이 발생하면 균형장애가 발생하며 어지럽다고 느끼게 된다. 대표적인 질환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 소뇌 질환 등이 있으며, 귀 안쪽의 평형기관이 모두 손상된 경우일 수도 있어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신경전도검사, 전정기능검사, 뇌 촬영 등이 필요할 수 있다.
광명21세기병원 신종화 원장은 “어지럼증은 일상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증상이기 때문에 가볍게 생각하고 넘길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적이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이거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라면 반드시 정확한 원인을 찾고 그에 맞는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특히 중추성 어지럼증의 양상을 보인다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 빠르게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말초성 어지럼증의 경우 MRI와 같은 검사가 굳이 필요하지 않지만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 경우, 심한 자세불안을 보이는 경우, 심한 두통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뇌실질 MRI, 뇌혈관 MRA 등 정밀한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어지럼증이 발생하면 빈혈이나 영양결핍을 떠올리기 쉽지만 실제로 이로 인한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때문에 철분제를 복용하거나 보양식으로 어지럼증이 나아질 거라 기다리기 보다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이 뇌졸중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경우라면 증상이 가벼운 어지럼증이 발생했더라도 정밀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