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플란트 시술은 치아가 탈락한 치조골(잇몸뼈) 자리에 인공치근을 식립한 다음 스크류로 인공치관을 연결하는 치료법이다. 턱뼈는 기저골, 치조골로 나뉘는데 그 중 치조골이 치아 유지에 핵심적인 임무를 맡고 있다.
주의할 점은 치아 탈락 후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임플란트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치조골은 치아 맹출과 동시에 생성되어 지속적인 골개조 과정을 일으킨다. 치아는 저작 활동을 통해 치조골에 압축력 및 인장력을 전달한다. 이는 치조골의 형태와 밀도 등을 유지시키는 열쇠다. 즉, 치아가 치조골의 골개조 과정을 돕기 때문에 뼈가 유지될 수 있는 셈이다. 만약 치아가 탈락한 채 이를 장시간 방치하면 치조골 골개조 과정이 이뤄지지 않아 점차 퇴화하고 만다.
치아가 사라져 치조골 자극이 부족해지면 골밀도 감소 현상이 두드러져 폭과 높이, 밀도, 부피가 전체적으로 감소한다. 이 상태가 되면 임플란트 식립이 근본적으로 어렵다.
치조골이 부족한 상태라면 뼈이식임플란트를 고려할 수 있다. 뼈이식임플란트는 환자의 뼈인 자가골 또는 타인의 치아인 동종골, 동물뼈인 이종골, 인공 재료인 합성골 등을 활용해 치조골에 뼈를 이식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치조골을 보강한 다음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뼈이식임플란트 치료를 위해 환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뼈이식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필수다.
뼈이식임플란트를 시행할 때 인공치근의 올바른 골유착 과정도 필수 체크사항이다. 치조골에 식립한 인공치근이 완벽하게 뼈와 융합되는 과정을 골유착이라고 정의한다. 즉, 저작 기능이 올바르게 이뤄질 만큼 임플란트가 안정적으로 고정됐는지 여부를 체크해야 임플란트 시술 성공을 좌우할 수 있다. 만약 임플란트 골유착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내부 빈 공간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에스플란트치과병원 노현기 원장은 "골유착은 잇몸뼈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밀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 별 맞춤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관리 미흡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임플란트 재수술을 해야 할 경우 광범위한 골파괴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 단기간에 끝내는 방법 등에 집착하지 말고 경험이 많고 실력이 우수한 의료진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