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에는 치아 대부분을 상실한 고령층 위주로 틀니를 활용하는 사례가 많았다. 고령층이나 잇몸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틀니가 대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저작 기능이 부실할 뿐 아니라 탈착의 번거로움이 단점으로 꼽힌다.
임플란트 틀니는 2~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다음 연결 장치를 사용해 틀니를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기존 틀니 대비 잘 빠지지 않고 음식물을 씹기 수월하다는 장점을 지녔다. 임플란트 브릿지는 임플란트를 부분 식립한 후 그 사이를 보철물로 연결하는 방법이다.
전체 치아를 상실했거나 1~2개만 남아 있는 경우, 오랜 기간 틀니를 사용했거나 틀니 착용이 불편한 경우, 사고나 심한 구강질환으로 대부분의 치아를 발치해야 하는 경우, 선천적으로 치아가 약하거나 장기간 치료시기를 놓친 경우 전체임플란트를 시행할 수 있다.
전체임플란트는 고정력이 단단하고 자연 치아 대비 90% 이상의 저작 기능 회복을 돕는 치료법이다. 또 입 안에서 보철물이 움직이지 않아 편의성이 뛰어나다.
다만 전체임플란트는 고난도 기술이 필요한 치료법이기 때문에 의료진의 실력과 풍부한 경험, 노하우가 꼭 필요하다. 아울러 전체임플란트 시 반드시 임플란트 식립 수를 확인해야 한다. 식립 개수가 많을수록 임플란트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수술을 받아야 안정적이고 튼튼한 치아를 되찾을 수 있다.
에스플란트치과병원 노현기 원장은 "전체임플란트는 악당 식립 개수가 많기 때문에 잇몸뼈가 튼튼해야 하고 교합, 심미성까지 고루 신경써야 하기에 의료진의 숙련도가 중요하다."며 "또 임플란트 치료는 환자 잇몸뼈 상태 뿐 아니라 구강구조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3D-CT를 이용한 정밀한 검사가 필수적"이라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