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금니 역할이 무겁고 막중한 만큼 시간이 지나며 잇몸이 가라앉거나 발치하는 경우가 생기기 마련이다. 어금니는 씹는 면이 다른 치아 대비 크기 때문에 강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임플란트가 보다 효과적이다.
어금니 임플란트는 어금니 기능 회복과 자연스러운 외형의 모습을 재현하는 치과 치료법이다. 무엇보다 기능적 측면이 매우 중요한데 기존 치아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심미적 측면도 필수다. 따라서 첨단 CT 촬영, 치아의 교합 등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또한 어금니 임플란트 치료를 시행할 때 신경 손상에 유의를 해야 한다. 어금니 부위가 신경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정확히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정밀한 첨단 CT 장비 활용이 필수다. 여기에 위, 아래 어금니 교합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수술함으로써 치료 후 음식을 씹는데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만약 어금니 결손으로 통증을 느끼거나 치아 간격이 벌어져 심미적으로 불만족스러운 경우, 현재 치아 상태로 음식을 씹지 못해 식사가 어려운 경우, 음식을 씹지 못해 상습적인 소화불량 및 위장장애에 시달리는 경우, 상실된 치아 복원과 동시에 주변 치아의 질환을 방지하고 건강하게 보존하고 싶은 경우 조속히 어금니 임플란트를 시행하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이다.
상기해야 할 점은 잇몸뼈가 충분해야 임플란트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치아가 상실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조골이 수직, 수평으로 흡수된다. 이는 곧 잇몸뼈 부분의 소실, 내구도 약화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이처럼 약해진 잇몸뼈에 임플란트 수술을 시행하면 단단하게 고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임플란트 수술 효과를 전혀 볼 수 없다.
약해진 잇몸에 인공뼈 이식을 통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뼈이식 임플란트라고 부른다. 뼈의 밀도가 치밀하고 단단할수록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높아지기 때문에 뼈이식을 통해 최적화된 임플란트 수술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뼈이식 임플란트는 시술 대상자 본인의 뼈를 사용하여 이뤄진다. 발치한 치아, 사랑니 또는 하악골의 뼈 등을 사용하여 이식을 진행한다. 조직은행에서 기증 받은 같은 인간의 뼈를 멸균처리하여 이식에 이용하기도 한다. 위 어금니 뼈이식이 필요하다면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해야 한다.
상악동이란 얼굴 위턱뼈 부분의 빈 공간을 뜻한다. 상악동과 잇몸뼈 사이에 뼈가 남아있지 않아 임플란트 수술이 어려울 경우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할 수 있다. 상악동을 들어올리고 그 공간에 뼈를 이식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지지기반을 확보하는 원리다.
배기찬 광주 킹덤치과 원장은 "어금니 임플란트 치료 시 접근 방법에 따라 수술 방법이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것이 특징"이라며 "따라서 풍부한 임상경험을 갖춘 의료진 주도 아래 각각의 상황에 맞는 수술법을 선택하여 진행하는 것이 필수"라고 전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