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동맥류 치료법인 EVAR은 개복 수술보다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이 적어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텐트와 혈관 벽이 완전히 밀착하지 않으면 혈액이 새어 나와 대동맥류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Type-I 엔도리크는 환자의 약 3%에서 발생하며, 방치 시 사망률이 27%를 넘는 치명적 합병증이다. 현재는 수개월 간격으로 CT·MRI 촬영을 통해 확인하는 방식이어서 조기 진단에 한계가 있다.
공동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커패시터 기반 초박막 무선 센서 시스템을 개발했다. 센서는 스텐트 근위부 부착 부위에 얇고 유연한 형태로 부착돼 혈액 유입 여부를 전기 신호로 감지한다.


연구팀은 “이 기술은 환자가 집에서도 손쉽게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스텐트 시술 후 관리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다”며, “엔도리크를 조기에 진단해 파열 위험을 낮추고, 추가 시술 시에도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반도체 우수인재양성사업(정보통신기술기획평가원, IITP), 한국연구재단(NRF), 한양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저명한 국제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10월 2일 온라인 게재됐다.
해당 논문 「A Wireless, Implantable Sensor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Blood Leakage After Endovascular Aneurysm Repair」에는 한양대 박선영 박사과정생과 김수현 석·박사통합과정생이 공동 제1저자로, 임영효 교수와 정예환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bjlee@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