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영향 등으로 봄철 가뭄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진 2일 세종시 소정면의 한 하천이 바짝 말라붙어 있다. [뉴시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20604103548042388752c8ab621251423735.jpg&nmt=30)
또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가뭄 대책을 매주 점검한다.
행정안전부는 3일 오후 김성호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중앙-지방 가뭄대책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회의에는 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기상청 등 관계기관과 17개 시·도 및 4개 시·군이 참여했다. 4개 시·군은 최근 가뭄 상황이 심각해진충남 태안군, 전남 완도군, 경북 포항시, 경남 합천군이다.
정부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강수량은 167.4㎜으로 평년의 48.6% 수준에 그쳐 전국적으로 기상 가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강수량이 평년의 6% 수준인 5.8㎜으로 사실상 비가 거의 오지 않았다.
이달 1일 기준 전국의 모내기 진행률은 78.6%로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으나 일부 천수답 등에 용수가 부족해 수확기인 마늘·양파·보리 등 밭작물의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앞으로 비가 계속 오지 않을 경우 노지 밭작물의 생육 저하로 생산량이 감소돼 그 피해는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는 게 정부 측 판단이다.
이에 행안부와 각 지자체는 '가뭄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예비비를 투입해 관정 개발과 용·배수로 정비, 하천 굴착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고령화된 농촌 현실을 감안해 양수 작업과 공공관정 전기요금 지원 등 필요 시 특교세도 지원한다.
환경부는 댐 수문 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도서·산간 지역의 식수난 해결을 위한 식수원 개발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지난 4~5월 두 차례에 걸쳐 각 지자체에 가뭄대책비 75억원을 지원한 데 이어 22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정부는 또 관계부처 합동 TF를 구성해 부처 및 시·도별 가뭄대책을 매주 점검하기로 했다. 근본적인 가뭄 해소를 위해 저수지를 준설하고 용수 개발이 필요하거나 식수가 부족한 곳에 상수도도 보급하기로 했다.
김 본부장은 "가뭄 해소를 위해 지자체에 지원된 급수 대책비를 신속히 집행해달라"고 요청했다.
김성중 행안부 재난대응정책관과 권재한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가뭄 현장에 실효성 있는 급수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현장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가뭄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