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행사는 단순한 위로 차원이 아니라,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 개선에 반영하기 위한 실질적 만남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CPA 소속 회원사 대표들이 직접 현장을 찾고 퀵플렉서들과 마주 앉아 생생한 고충을 듣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폭염 속에서도 배송에 나서는 기사들에게 감사를 전하는 동시에, 제도적 한계와 반복되는 운영상 문제를 확인하고 개선을 모색하는 자리가 됐다.
현장에서는 ‘택배 없는 날’을 둘러싼 우려가 두드러졌다. 오는 8월 14일로 지정된 해당 휴무일에 대해 일부 퀵플렉서들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주 4일만 일하는 일정 속에서 하루가 줄어들면 사실상 주 3일만 일하게 되는 구조로,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실제로는 ‘택배 없는 날’에도 쉬지 못하고 배송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도 나왔다.
CPA는 복지라는 명분 아래 일률적으로 휴무를 적용하기보다는, 퀵플렉서 개개인의 수입 구조와 업무 특성을 고려한 유연한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CPA의 자체 집계에 따르면 야간 퀵플렉서 중 95% 이상이 격주 5일제를 실현하고 있으며, 전체 퀵플렉서의 절반 이상이 주 5일 근무 체계를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배송 구조가 이미 자리 잡고 있다는 방증이며, 정형화된 외부 기준보다 현장 상황에 기반한 대책이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물류 구조의 비효율성도 문제로 지적됐다. 현재 1차 간선 차량에서 충분한 소분이 이뤄지지 않아, 2차 소분 작업이 과도하게 집중되고 있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이로 인해 기사들의 업무 시작 시간이 늦어지고 체력 소모는 가중되며 전반적인 배송 효율이 저하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CPA는 이러한 구조적 병목을 해소하기 위해 쿠팡CLS가 소분 단계부터 실질적인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캠프 내 근무 환경과 관련된 불편 사항도 이어졌다. 일부 캠프에는 냉방기나 선풍기가 설치됐지만 전국 단위의 빠른 보급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으며, 앱 오류에 대한 대응 미흡, 이형상품 및 합포장 지연, 프레시백 교체 지연 등 일선 기사들이 반복적으로 겪는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요구됐다.
CPA는 현장에서 수렴한 문제들을 종합해 쿠팡CLS에 공식적으로 제도 개선을 요구할 계획이다. 복지와 지원은 말보다 실질적 체감으로 입증돼야 하며, 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기사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전국 주요 캠프를 순회하며 퀵플렉서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CPA는 쿠팡CLS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응하거나 개선에 진정성을 보이지 않을 경우, 보다 강도 높은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번 행보는 단순한 격려 이
김신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