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일자리, 15만4천개 감소하며 역대 최대치 감소...건설업, 6분기 연속 감속 지속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5년 1분기(2월 기준)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1분기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전년 동기 대비 1만5000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임금 근로 일자리는 한 사람이 두 개 이상 일자리를 가질 경우 각각 따로 집계된다.
임근 근로 일자리 증가 폭은 지난해 4분기 15만3000개로 처음으로 10만개대로 떨어졌고, 올해 1분기에는 1만개대로 급감하며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일자리가 역대 가장 큰 폭인 15만4000개 감소했다.

건설업 일자리는 2023년 4분기부터 6분기 연속 줄면서 169만개로 축소됐다.
제조업도 1만2000개 줄며 2021년 1분기 이후 4년 만에 감소했다.
도소매업 일자리는 8000개 감소하며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10만9000개), 협회·수리·개인(2만5000개), 전문과학·기술(2만4000개), 운수·창고(2만1000개), 교육(9000개) 업종에서는 일자리가 늘었다.
숙박·음식업은 5000개 늘었지만, 코로나19 영향권이던 2021년 4분기 이후 가장 적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속되는 건설경기 침체와 수출 부진이 건설업·제조업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도소매업 감소는 내수 부진에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19만7천개)에서 가장 일자리가 많이 늘었고, 30대(6만4천개), 50대(2만1천개)도 증가했다.
반면 20대 이하(-16만8천개), 40대(-10만개)에서는 일자리가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