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정보영 교수와 단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김동민 교수, 차의과대 분당차병원 심장내과 양필성 교수팀은 60세 이상 노인에서 심방세동이 치매 위험을 1.5배 높인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최신호에 발표됐다.
심방세동은 가장 흔한 부정맥으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어지럽고 숨이 차는 증상을 보인다. 혈액 흐름이 불규칙해 생긴 혈전(피떡)으로 뇌졸중의 위험 요인이다. 실제 심방세동은 뇌졸중 발생 위험이 5배 높고 전체 뇌졸중의 20%는 심방세동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방세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 중 하나로 치매를 발생시킨다는 보고가 있지만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뇌경색이 없는 상태에서 심방세동과 치매와의 연관성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2005~2012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통해 60세 이상 노인 26만2611명을 대상으로 심방세동이 발생한 환자(1만435명)와 심방세동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2만612명)로 분류해 치매 발생 위험도를 조사했다. 두 환자군에서 등록 당시 인지기능 검사에서는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심방세동 환자 가운데 약 2536명(24.3%)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심방세동이 없는 환자에서는 약 3174명(15.4%)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심방세동 환자의 치매 위험도가 1.5배 이상 높았다.
이런 위험성은 추적기간 중 뇌경색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뇌경색과는 별도로 심방세동이 치매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결론이 가능하다.
치매의 형태별로는 혈관성 치매 위험은 2배, 알츠하이머병은 약 1.3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뇌경색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해도 큰 차이는 없었다.
연구팀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항응고치료(피가 뭉치는 걸 막아주는 치료)가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지 추가로 분석했다.
심방세동 환자 중 항응고치료를 시행한 환자 3092명(29.6%)과 그렇지 않은 환자를 비교한 결과 항응고제를 복용한 환자에서 모든 치매 발생 위험도가 약 40%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50%로 조사됐으며 혈관성 치매는 약 20%로 더 낮았다.
진병두 비욘드포스트 기자 jbd@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