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T커넥티드 변속 시스템’은 도로의 3차원 정밀 지도가 탑재된 3D 내비게이션과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을 위한 카메라, 라이더 등 각종 ICT 기기들이 보내는 신호를 지능화된 소프트웨어로 종합해 변속기를 제어하는 원리로 구동되며, 개발과정에서 약 40건의 국내외 특허가 출원됐다.
이 기술은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는데 △3D 내비게이션의 도로 높낮이와 곡률, 도로 종류, 돌발상황 등의 정보 △전방 레이더의 차량 간 거리와 상대 차량의 속도 정보 △전방 카메라의 차선과 시각 정보 등이 TCU(변속 제어 장치)로 전송된다.
신호를 받은 TCU는 AI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변속 시나리오를 예측하고. 적절하게 변속한다. 긴 주행이 예상되는 경우 변속기를 일시 중립상태로 전환해 연비를 향상시킨다.
현대차·기아차가 ‘ICT커넥티드 변속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을 굴곡이 심한 도로에서 테스트해 본 결과 코너링에서의 변속 빈도가 43%줄어들었고, 이에 따른 브레이크 조작 빈도 역시 약 11% 줄어들었다.
현대차·기아차는 향후 이 시스템이 LTE또는 5G통신을 기반으로 신호등과도 통신할 수 있도록하고, 운전자의 성향을 파악해 이를 변속 제어에 반영하는 등 더욱 지능화된 변속 기술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전병욱 현대차·기아차 지능화구동제어리서치랩 연구위원은 “자동차가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스마트 모빌리티로 진화하고 있다”며 “파워트레인과 같이 전통적인 자동차 분야도 ICT 및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하는 노력을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에 최적화된 첨단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기성 비욘드포스트 기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