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질환을 유발하는 유전적 변이에 대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다케다제약-뉴욕과학아카데미,
2020 과학혁신가상 수상자 발표

2020 신진과학자상(Early-Career Scientist Award)은 KAIST 의과학대학원 이정호 교수에게 돌아갔다. 이정호 교수는 희귀 발달성 뇌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뇌 줄기세포 내 유전적 변이에 대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교수는 난치성 간질의 원인을 최초로 찾아냈으며 국소 피질 이형성증, 뇌간의 발달저하가 특징인 주버트 증후군 (Joubert syndrome), 뇌의 한쪽 반구가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는 편측거대뇌증 등 몇몇 발달성 뇌 질환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규명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뇌 체세포 유전변이 국가 연구단(National Creative Research Initiative Center for Brain Somatic Mutations) 단장이자, 저빈도 체세포 유전변이에 의한 난치성 중추신경계 질환을 위한 새로운 치료제 및 진단법 발굴을 목표로 설립된 바이오제약 기업 소바젠(SoVarGen)의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경영자(CTO , Chief Technology Officer)다.
이 교수는 “개인적으로 존경하는 세계적인 과학 석학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으로부터 인정받게 돼 큰 영광이다”라며 “더 중요한 사실은 이번 수상으로 뇌 체세포 유전변이 연구가 치명적인 난치성 신경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위한 중요한 연구 분야로 인정받게 됐다는 것이다”고 소감을 밝혔다.
다케다 R&D를 총괄하는 앤드류 플럼프 박사(Andrew Plump, M.D., Ph.D.)는 “희귀질환 환자들은 의약품 개발에 있어 소외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크라이너 교수와 이정호 교수 같은 과학자의 혁신적 연구를 통해 환자의 삶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과 선구적인 접근법 도출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다케다제약은 뉴욕과학아카데미와 함께 연구자들의 업적을 폭넓게 공유하고 응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망한 과학적 성취를 더욱 앞당길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뉴욕과학아카데미 사장 겸 CEO 니콜라스 더크스 박사(Nicholas Dirks, Ph.D., President and CEO)는 “현 사회의 시급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과학과 사회를 하나로 연결하는 것은 우리 아카데미의 핵심 가치”라며 “전세계 희귀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 성과 달성을 위해 유전체의 가능성을 깨우고자 헌신하는 두 과학자에게 올해로 3주년을 맞은 과학혁신가상을 시상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