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무릎관절 질환 중 가장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질환이다. 무릎의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에 점진적 손상이 일어나면서 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뼈나 인대 등에 염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퇴행성 관절염으로 칭한다. 주로 퇴행성 변화로 인한 노년층 발생이 많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이유로 점차 발생 연령층이 낮아지고 있는 질환 가운데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하면 무릎에 통증이 나타나게 된다. 처음에는 관절염이 진행되는 관절 부위에만 국소적 통증이 나타나고 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지다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의 빈도가 점차 잦아지는 특징이 있다.
초기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통해 어느 정도 호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이런 보존적 치료로 반응이 오지 않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관절의 상태가 양호하고 젊은 나이라면 무릎관절내시경과 같은 치료를 통해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무릎관절내시경은 환부에 최소절개를 통해 내시경과 특수 기구를 삽입 후 직접 병변부위를 살펴보면서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환자의 무릎상태나 나이, 활동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시행하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고 정밀한 치료가 가능하다.
가자연세병원 김포점 권순억 병원장은 “관절내시경은 퇴행성관절염을 치료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인 치료이지만 수술의 시기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무릎 통증을 오래 방치하거나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라고 전했다.
news@beyondpost.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