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 별 방역 수칙·지원 방안, 공평하지 않다" 반발
간판 조명 켠 채 가게 문 열고 집단 항의…17일까지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 광주시지부는 회원 업소 700여 곳이 각 영업장마다 간판 조명을 켜고 출입문을 열어 놓는 형태로 집단 행동을 펼친다고 5일 밝혔다.
집단 행동은 유흥시설 관련 업종 집합 금지 행정명령 장기화를 규탄하고, 업종 별로 차이를 둔 방역 지침을 개선해달라고 촉구하기 위해서다.
실제 이날 광주 서구 상무지구 유흥가 일대 내 유흥주점·노래홀·감성주점 등지에 간판 네온사인 등이 켜졌다. 창가 주변 실내 조명은 모두 꺼져 있었지만 일부 가게에는 출입문은 열려 있었다.
유흥주점이 밀집한 도로변에는 드문드문 현란한 간판 조명이 눈에 띄었다. 어느 단란주점 출입문에는 '점포 임대' 안내문이 붙었다.
집단 행동에 참여한 업소들은 우선 방역 지침을 준수하고자 영업은 하지 않는다. 손님이 방문하면 귀가를 안내하겠다는 입장이다.
집단 행동은 유흥시설 5종 집합 금지 등을 골자로 하는 특별 방역 대책이 끝나는 이달 17일까지 이어진다.
만약 유흥시설 집합 금지 등의 방역 지침이 17일 이후에도 유지될 경우, 영업 강행도 불사할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 광주시지부 관계자는 "코로나19 감염은 영업시간대·업종에 따라 확산되지 않는다. 음식점이나 노래연습장은 출입 인원 제한만 유지하면서 유흥주점은 영업 자체를 막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영업자 대상 피해 금융 지원도 유흥시설은 받지 못한다. 생계 위기에 봉착한 업주들은 격앙된 상태다"며 "당국이 납득할 수 있는 방역 대책과 적절한 지원 방안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첨단지구 유흥주점 업주는 "정부의 방역 대책이 잘못됐다는 점을 알리기 위한 의사 표현이다"며 "실제 영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집단 행동이 코로나19 확산 위험을 높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