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ad

logo

ad
ad
ad
ad

HOME  >  정책·지자체

국민 75% "코로나 유행 차단에 5인 모임금지가 효과적"

입력 2021-02-02 09:39

영업 제한보다 개인 활동 제한이 중요
방역수칙 위반시 60.7% "강력한 처벌 필요"
이용자에 10만원 이하 과태료 44.9% "낮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설 연휴까지 2주 연장하기로 발표한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묘 벼룩시장이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설 연휴까지 2주 연장하기로 발표한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묘 벼룩시장이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뉴시스> 국민 10명 중 7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유행 차단에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가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하면서 감염 확산을 막으려면 영업 제한보다 이같은 개인 활동 제한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2일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27~28일 이틀간 전국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사회적 거리 두기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74.4%가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가 이번 3차 유행 차단에 효과적이었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22.1%였으며 3.5%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앞으로 코로나19 유행이 확산되는 경우 사적 모임 금지 조치를 해야 한다는 문항에는 85.7%가 동의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선 다중이용시설 집합금지나 영업 제한보다는 사적 모임 금지와 같은 개인 활동 제한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국민도 74.8%를 차지했다.

지난해 12월8일 수도권 2.5단계·비수도권 2단계 사회적 거리 두기 조정 이후 수도권에선 12월23일부터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가 시행됐다. 비수도권은 24일부터 식당에 한해 적용하고 이달 4일부터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를 전국에 확대했다.

실제로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가 잘 지켜졌느냐는 질문에는 65.2%가 그렇다고 답했고 31.5%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비욘드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