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는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3년 간 전국 5,000가구가 매일 구매한 내역을 스마트폰 앱으로 스캔하는 방식을 통해 세부적인 데이터를 취합했다. 샘플은 정부 센서스와 칸타 마이크로 센서스를 기준으로 구성했으며, 간편식 시장 가족 구성(맞벌이/외벌이)에 따른 구매 트렌드와 유통채널 현황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 가정간편식 시장은 최근 3년 간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함께 성장세를 기록했다. 실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꾸준히 증가했으며, 맞벌이 가구 수도 과거 대비 확대되는 추이가 나타났다. 이중에서도 30대 맞벌이 가구의 비중의 큰 변화는 가정 내에서 간편하게 취식이 가능한 가정간편식 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다만, 최근 가정간편식 시장에서는 맞벌이보다 외벌이 가구에서 구매가 더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는 외벌이 가구는 상대적으로 한 번에 적은 금액을 지출하지만 구매빈도가 높으며, 시간 제약이 존재하는 맞벌이 가구는 적은 장보기 횟수를 고려해 한번 구매시 지출 금액이 큰 양상을 보인다.

유통채널 측면은 외벌이와 맞벌이 가구 모두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가정간편식 구매 성장세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반면 오프라인 채널의 경우 외벌이는 집 근처 슈퍼마켓의 구매빈도 증가가, 맞벌이는 클럽형마트에서의 대량구매가 큰 폭의 성장이 감지됐다. 반면, 대형마트는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오프라인 쇼핑 자제로 인해 전 가구에서 상대적으로 미미한 성장률을 기록했다.

칸타 월드패널 사업부문 심영훈 이사는 “맞벌이와 외벌이 등 가구특성에 따라 가정간편식 구매행태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맞벌이와 외벌이의 구매행태 차이 지속여부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구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타깃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