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여 665억원은 도로 신설, 어린이집 신축 등에 활용…문화시설도 신설

서울시는 제9차 도시·건축 공동 위원회를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용산 철도병원 부지 특별계획 구역 지정·세부 개발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대상지는 등록 문화재로 지정된 용산 철도병원이 위치한 부지다. 지난 1984년부터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으로 운영해왔으나 2011년 폐업 이후 현재까지 빈 건물들로 방치돼 있었다.
건물 주변에는 한강초등학교와 용산공업고등학교가 인접하고 있으며 국제빌딩 주변 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 아세아아파트 주택 건설 사업 등 개발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시는 지난해 1월부터 토지 소유자인 한국철도공사와 사전 협상을 진행해 용산 철도병원 부지에 대한 개발 계획을 수립했으며, 이번 지구단위 계획을 통해 개발 내용을 구체화했다.
이번 지구단위 계획의 주요 내용은 등록문화재를 용산 역사박물관으로 운영하기 위해 종합 의료 시설 폐지 후 문화 시설 신설, 저층부 박물관 연계 용도 도입, 최상층에 시민들에게 공유하는 전망 공간과 개방형 커뮤니티 시설 설치 등이다.
이번 결정으로 해당 지역에는 지하 6층~지상 34층, 연면적 9만4000㎡ 규모의 공동 주택(685세대)과 근린 생활시설, 문화·집회 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시는 이번 사업으로 발생하는 약 665억원의 공공기여를 박물관 활용을 위한 용산 철도병원 리모델링·수장고 설치(474억원), 어린이집 신축 이전과 풋살장 도입(111억원), 도로 신설(80억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세부 개발 계획 결정으로 옛 문화유산인 용산 철도병원이 박물관으로 조성된다"며 "공공 보행통로 주변에 배치한 연도형 상가와 쉼터 등으로 인해 저층부도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