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1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 2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805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신용은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과 카드사와 백화점 등의 판매신용을 더한 액수다.
2분기 가계 빚은 전분기보다 41조2000억원(2.3%) 늘어 증가폭이 1분기(36조7000억원)보다 확대됐으며, 2분기 증가액 기준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68조6000억원(10.3%) 늘어 2003년 통계 편제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정부의 대출 규제에도 가계 빚이 급증한 것은 초저금리 기조 속 집값·주가 상승 기대감이 지속되면서 주택매매와 주식투자 등을 위해 가계가 빚을 크게 늘렸기 때문이다. 4월 말 카카오뱅크, HK이노엔 등 공모주 청약과 코로나19 여파로 생활자금 수요가 늘어난 점도 대출 증가에 한 몫을 담당했다.
송재창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주택 매매와 전세 거래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되면서 주택 담보 대출이 꾸준히 늘었다"며 "특히 4월 말 있던 공모주 청약과 코로나19가 장기화로 인한 생활자금 수요가 2분기에도 지속되면서 기타대출 증가폭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가계신용에서 비중이 가장 큰 가계대출은 1705조3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경신했다. 전분기 대비 38조6000억원(2.3%) 늘어 2분기 기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59조2000억원(10.3%) 늘면서 역대 최고 증가폭을 나타냈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은 17조3000억원(1.9%) 증가한 948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로도 75조2000억원(8.6%) 늘었다. 아파트 매매와 전세거래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된 영향이다. 신용대출과 마이너스 통장 등 기타대출은 21조3000억(2.9%) 늘어난 757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기준 최대 증가폭이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84조(12.5%) 늘어 2003년 통계 편제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기타대출은 4월 말 카카오뱅크, HK이노엔 등 공모주 청약으로 인한 일시적 영향이 컸다.
기관별로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880조9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2조4000억(1.4%) 늘어 1분기(18조7000억원) 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주택담보대출이 증가 규모가 전분기보다 축소(15조→4조8000억)된 영향이다. 반면 1년 전과 비교하면 85조9000억원(10.8%) 늘어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338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보다 9조1000억원(2.8%) 늘어 1분기(5조6000억원) 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보험사와 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 등의 가계대출도 485조9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7조1000억원(3.6%) 증가해 1분기(10조5000억원) 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송재창 팀장은 "전분기와 비교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증가폭이 축소되고 기타금융 기관의 증가폭이 확대된 것은 주택담보 대출의 영향을 받아서다"며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모기지론이 주택금융공사 등에 이관되면서 예금은행의 주담대 증가폭은 15조에서 4조8000억원으로 축소된 반면 기타금융기관은 3조7000억에서 10조9000억으로 증가 규모가 확대됐다"고 전했다.
한은에 따르면 공적금융기관과 자산유동화 회사의 정책모기지 양도액은 1분기 2조1000억원에서 2분기 9조9000억원으로 늘었다.
판매신용 잔액은 100조6000억원으로 전분기 보다 2조7000억원(2.7%) 늘어 2분기 기준 역대 최고 증가폭을 나타냈다. 전년동기 대비로도 9조4000억원(10.3%) 늘었다. 판매신용에는 결제 전 카드사용 금액 등이 포함된다.
송 팀장은 "백신 접종이 확대되면서 소비심리 개선 등으로 민간소비 증가율이 1분기 보다 높게 나타나면서 판매신용이 큰 증가를 보였다"며 "온라인 매출이 증가한 점도 판매신용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말했다.
kingheart@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