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하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뉴시스]](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20808100605091758752c8ab621251423735.jpg&nmt=30)
8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이번 주택공급대책에는 공공택지 142만 가구와 재건축·재개발 47만 가구, 도심·역세권 복합개발 20만 가구, 국공유지‧차량기지 복합개발 18만 가구, 소규모 정비사업 10만 가구 등 전국에 5년간 250만 가구 이상의 주택을 공급하는 세부 방안이 담긴다.
새로운 주택공급대책은 부동산 관련 세제 및 각종 규제 손질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및 도심 정비사업 규제에 대한 개선에 관심이 쏠린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는 재건축이 마무리된 뒤 초과이익의 최대 50%를 세금으로 내게 하는 제도다. 지난 정부에서 부활한 정책으로, 실현되지 않은 이익에 과도한 세금을 물려 도심 공급을 막는다는 지적이 많았던 만큼 새 정부가 어떤 수정안을 낼지 주목된다.
정부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를 적절한 선에서 손볼 계획을 밝혀왔다. 이번 주택공급대책에 이 내용이 포함된다는 사실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전부터 언급한 바 있다. 당시 원희룡 장관은 토지 주인이나 입주자, 사업자는 물론 지역 주민과 무주택자들을 포함해 이익의 균형을 이루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안전진단 관련 규제 완화도 주택공급대책에 담길 것으로 보인다. 구조안전성 비중을 현행 50%에서 30%로 낮추고 주거환경 비중을 15%에서 30%로 높이는 방안은 윤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공약으로 언급한 내용이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심각해진 층간소음 문제에 대한 방안도 관심사다. 건설사가 바닥 두께와 인테리어 등을 시공한 뒤 소비자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경우 인센티브 용적률을 추가하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별도로 건설사들은 지난 4일부터 층간소음 사후확인제가 도입되면서 신축 건물의 층간소음을 잡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내고 있다.
윤 대통령 대선 공약에 포함됐던 1기 신도시 특별법을 통한 10만 가구 신규 공급안도 새 정책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원가주택 및 역세권 첫집 등 윤 정부의 청년 주택공급 계획과 관련된 세부적 내용에도 실수요자 눈길이 쏠려있다.
zaragd@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