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직업능력연구원, "언어능력 저하, 호남 강원권 가장 심각...대구 경북권은 상대적으로 낮아"

5일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발표한 '인구 고령과와 인적 역량 감소의 지역별 차이'에 따르면 한국의 25~64세 성인의 인적 역량(언어능력)은 전반적으로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분석은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의 2012년과 2022년 한국 데이터를 활용한 합성 코호트 분석 방식으로 이뤄졌다.
연령별 언어능력은 35~44세에서 11.3%, 45~54세에서 23.1%, 55~64세에서 36.0% 각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전체 국가 중 빠른 축이라는 게 연구원측의 설명이다.
지역별로는 전라권과 강원권에서 고령화에 따른 인적 역량 저하가 더 뚜렷했다.
35~44세 연령대에서는 광주·전라권의 언어능력 퇴화율이 15.9%로 가장 높았고, 대구·경북권은 9.5%로 가장 낮았다. 45~54세는 광주·전라권이 27.6%, 대구·경북권은 20.1%였다. 55~64세는 광주·전라권이 무려 41.8% 감소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하락 폭을 보였다. 같은 연령대에서 대구·경북권은 31.1%로 비교적 낮은수치를 기록했다.
인적 역량 저하는 청년층의 역량 점수 분포에서도 나타났다.
수도권 25~34세 청년의 언어능력 점수는 287.2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나, 대전충청이 273.6점으로 가장 낮았고 광주·전라권은 275.1점, 강원권은 285.7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과 산업 기반 취약성이 겹쳐 비수도권의 역량 퇴화를 부추기고 있다며, 지역 맞춤형 평생학습 및 재교육 정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이성구 전문위원 news@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