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평판연구소 빅데이터 분석결과...2위 제주시, 3위 부산시 순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대한민국 도시에 대해 브랜드 평판조사를 했다. 지난 7월 21일부터 8월 21일까지의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62,570,889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습관과 평판을 분석했다.
도시 브랜드는 대한민국의 시(市)에 대한 브랜드를 분석한 것으로, 1949년 8월 15일 19개의 부(府)를 일괄 개칭하여 탄생됐다. 다음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광역자치단체인 특별시, 기초자치단체인 시, 특별자치도의 하부 행정 구역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행정시가 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도시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거버넌스(governance) 분석을 가중치로 포함했다. 거버넌스(governance)는 일방적인 정부 주도적 경향에서 벗어나 정부, 기업, 비정부기구 등 다양한 행위자가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말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2025년 8월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 10위 순위는 서울시, 제주시, 부산시, 수원시, 대전시, 청주시, 인천시, 고양시, 세종시, 대구시 순으로 분석됐다.
도시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서울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287,545 미디어지수 1,037,021 소통지수 1,420,415 커뮤니티지수 1,905,47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4,650,452로 분석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4,722,506과 비교해보면 1.53% 하락했다.
2위, 제주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63,260 미디어지수 211,747 소통지수 892,793 커뮤니티지수 1,444,26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612,065로 분석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1,256,680과 비교해보면 107.85% 상승했다.
3위, 부산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88,283 미디어지수 303,570 소통지수 430,458 커뮤니티지수 1,304,1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126,483으로 분석됐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1,827,341과 비교해보면 16.37%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도시 브랜드평판 2025년 8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서울시 ( 시장 오세훈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도시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7월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60,103,681개와 비교하면 4.10%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4.51% 상승, 브랜드이슈 2.48% 상승, 브랜드소통 3.05% 상승, 브랜드확산 3.01%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sglee640@beyondpos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