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REV102 프로그램에 대한 지분 매각을 발표했다.8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 7월 8일, 랠리바이오(나스닥: RLYB)는 심각한 희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한 혁신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임상 단계의 생명공학 회사로서, REV102 프로그램에 대한 지분을 Recursion Pharmaceuticals에 매각하기로 한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이번 거래는 최대 2천 5백만 달러에 달하며, 이 중 750만 달러는 선불 지분 지급으로 포함된다.선불 지급을 통해 랠리바이오는 2027년 중반까지 자금 운용 기간을 연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V102 프로그램은 랠리바이오와 Recursion 간의 공동 투자로 시작되었으며, HPP(저인산혈증) 환자를 위한 ENPP1 억제제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공동 투자에서의 주요 후보물질인 REV102는 2025년 초에 IND 승인 준비 연구에 들어갔다.랠리바이오의 CEO인 스티븐 우든 박사는 "우리는 HPP 환자들의 중요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ENPP1을 목표로 삼아왔다. 랠리바이오의 HPP 전임상 및 번역 연구에 대한 전문성과 Recursion의 통합 AI/실험 플랫폼을 결합하여, 우리는 HPP에 대한 첫 번째 잠재적 경구 질병 수정 치료법으로 이 개념을 발전시켰다"고 말했다.계약 조건에 따르면, 랠리바이오는 750만 달러의 선불 지분 외에도 추가 전임상 연구 시작 시 1천 2백 50만 달러의 조건부 지분 지급과 5백만 달러의 임상 연구 시작 관련 마일스톤 지급을 받을 수 있다.또한, 랠리바이오는 Recursion의 모든 미래 순매출에 대해 저단위 로열티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다.Recursion의 과학 책임자인 데이비드 할렛은 "이 프로그램을 현재 단계까지 발전시키기 위한 랠리바이오의 귀중한 파트너십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이 중요한 프로그램의 완전한 소유권을 확보함으로써, Recursion은 HPP 환자들에게 첫 번째 잠재적 경구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스티븐 라이더와 고용 계약을 체결했다.2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 6월 25일, 랠리바이오가 스티븐 라이더 박사와 고용 계약을 체결했다.스티븐 라이더 박사는 2019년 1월부터 랠리바이오의 최고 의학 책임자로 재직 중이다.고용 계약에 따르면, 라이더 박사는 연간 기본 급여로 531,227달러를 받게 된다.계약 조건에 따라, 그는 개인 및 회사의 연간 성과 목표 달성에 따라 기본 급여의 최대 40%에 해당하는 연간 목표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라이더 박사는 초기 1년 계약을 체결하며, 계약 기간은 자동으로 연장된다.계약 기간 종료 60일 전까지 연장하지 않겠다고 통보해야 하며, 통보가 없으면 자동으로 연장된다.고용 계약에 따르면, 라이더 박사는 특정 자격을 갖춘 해고와 관련하여 퇴직금 및 혜택을 받을 수 있다.만약 랠리바이오가 정당한 사유 없이 해고할 경우, 그는 해고일 이전의 연도에 대한 미지급 연간 보너스, 해고 후 12개월 동안의 기본 급여 지급, COBRA 보장 선택 시 건강 보험료 지급을 받을 수 있다.라이더 박사가 사망하거나 장애로 인해 해고될 경우, 그는 미지급 연간 보너스와 해고 후 6개월 동안의 기본 급여를 받을 수 있다.또한, 계약에 명시된 대로, 라이더 박사는 고용 종료 후 12개월 동안 랠리바이오와 경쟁하거나 고객을 유인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고용 계약의 내용은 랠리바이오가 제출한 현재 보고서에 포함되어 있다.고용 계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 기본 급여: 연간 531,227달러2. 연간 보너스: 기본 급여의 최대 40%3. 고용 기간: 초기 1년, 자동 연장4. 퇴직금: 해고 시 미지급 보너스 및 기본 급여 지급5. 경쟁 금지 및 고객 유인 금지 조항 포함현재 랠리바이오는 안정적인 고용 계약을 통해 경영진의 지속적인 기여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회사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본 컨텐츠는 AI API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으로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주주총회 결과를 발표했다.1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랠리바이오가 2025년 5월 13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했고, 주주들이 투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첫 번째로, 후보자들이 2028년 주주총회까지 임기가 만료되는 1급 이사로 선출됐다. 마틴 W. 맥케이는 23,833,701표의 찬성을 얻었고, 반대는 3,132,991표, 기권 및 중개인 비투표는 7,708,200표였다. 폴라 소테로폴로스는 23,812,816표의 찬성을 얻었고, 반대는 3,153,701표, 기권 및 중개인 비투표는 7,708,375표였다.두 번째로, 주주들은 2025년 12월 31일에 종료되는 회계연도에 대해 딜로이트 앤 투체 LLP를 독립 등록 공인 회계법인으로 임명하는 것을 승인했다. 이 투표에서 34,632,324표의 찬성을 얻었고, 반대는 40,810표, 기권은 1,758표였다.이 보고서는 1934년 증권거래법의 요구에 따라 작성됐으며, 랠리바이오의 재무 담당 이사인 조나단 I. 리버에 의해 서명됐다. 서명일자는 2025년 5월 16일이다.현재 랠리바이오는 안정적인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주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본 컨텐츠는 AI API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으로 수치나 문맥상 요약이 컨텐츠 원문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해당 컨텐츠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를 할때는 컨텐츠 원문을 필히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8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랠리바이오가 2025년 3월 31일 종료된 분기에 대한 10-Q 양식을 제출하며 실적을 발표했다.이번 분기 동안 회사는 212,000달러의 협업 및 라이센스 수익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수치이다.운영 비용은 연구 및 개발에 5,725,000달러, 일반 및 관리 비용에 4,157,000달러로 총 9,882,000달러에 달했다.이로 인해 운영 손실은 9,670,000달러에 이르렀다.또한, 회사는 2025년 1분기 동안 9,439,000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며, 주당 손실은 0.21달러로 나타났다.회사는 현재 RLYB116을 포함한 여러 제품 후보군을 개발 중이며, RLYB116은 보완 조절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혁신적인 C5 억제제로 주목받고 있다.2025년 2분기에는 RLYB116의 확인적 약리학적 및 약리역학적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회사는 2025년 3월 31일 기준으로 5,450만 달러의 현금, 현금성 자산 및 시장성 증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12개월 이상의 운영 비용 및 자본 요구 사항을 충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그러나 회사는 RLYB116 및 기타 제품 후보군의 개발 및 상용화를 완료하기 위해 상당한 추가 자본을 조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회사는 2025년 1분기 동안 10,205,000달러의 운영 활동에 사용된 현금을 기록했으며, 투자 활동으로부터는 11,081,000달러의 현금을 확보했다.이러한 재무 결과는 회사의 현재 재무 상태를 반영하며, 향후 제품 후보군의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본 컨텐츠는 AI API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으로 수치나 문맥상 요약이 컨텐츠 원문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해당 컨텐츠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를 할때는 컨텐츠 원문을 필히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2025년 1분기 재무 결과를 발표했고 사업 업데이트를 제공했다.8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 5월 8일, 랠리바이오(나스닥: RLYB)는 2025년 3월 31일로 종료된 분기의 재무 결과를 발표하고 최근 회사 발전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공했다.랠리바이오는 2025년 1분기 동안 2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했으며, 이는 2024년 1분기에는 수익이 없었던 것과 대조적이다.2025년 1분기 연구개발(R&D) 비용은 570만 달러로, 2024년 같은 기간의 1,290만 달러에 비해 감소했다. 이는 RLYB212, RLYB116 및 기타 프로그램 후보와 관련된 개발 비용 감소와 인력 감축에 따른 인건비 감소에 기인한다.일반 관리(G&A) 비용은 420만 달러로, 2024년 같은 기간의 690만 달러에 비해 감소했다.랠리바이오는 2025년 1분기 동안 94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으며, 주당 순손실은 0.21 달러였다.2025년 3월 31일 기준으로 현금, 현금성 자산 및 유가증권은 5,450만 달러로, 이는 2027년 상반기까지 운영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랠리바이오는 RLYB116의 확인 임상 약리학/약리학적 연구를 2025년 2분기에 시작할 예정이며, 2025년 하반기에는 여러 데이터 결과가 예상된다. 또한, REV102와 RLYB332를 포함한 전임상 파이프라인에서도 상당한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RLYB212 프로그램은 2025년 4월에 중단되었으며, 이는 임상 시험에서 목표 농도를 달성하지 못한 PK 데이터에 기반한 결정이다.랠리바이오는 40%의 인력 감축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2025년 2분기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약 170만 달러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랠리바이오는 현재 5,450만 달러의 현금 보유액을 통해 2027년 상반기까지 운영을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컨텐츠는 AI API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으로 수치나 문맥상 요약이 컨텐츠 원문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RLYB212 개발이 중단됐다.8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 4월 8일, 랠리바이오가 태아 및 신생아 면역혈소판감소증(FNAIT) 예방을 위한 RLYB212 프로그램의 개발 중단을 발표했다.이 결정은 RLYB212의 2상 임상시험에서 얻은 약리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것으로, RLYB212의 용량 조정이 예측된 목표 농도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랠리바이오는 C5 억제제인 RLYB116의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다.랠리바이오의 CEO인 스티븐 우든 박사는 "RLYB212 2상 시험의 PK 결과에 실망했다"고 전하며, "예측 범위에서 크게 벗어난 결과와 용량 조정에 대한 경험적 데이터의 부재로 인해 위험/이익이 더 이상 지속적인 투여를 지지하지 않게 됐다"고 밝혔다.RLYB212 2상 시험은 임신 중 HPA-1a 면역화 및 FNAIT의 위험이 높은 여성에서 PK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다.2분기 PK 결과는 RLYB212가 6 ng/mL에서 10 ng/mL의 목표 농도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보여주었고, 효능을 위한 최소 목표 농도인 3 ng/mL에도 미치지 못했다.랠리바이오는 RLYB116의 확인 임상 PK/PD 연구를 2025년 2분기에 시작할 예정이며, 2025년 하반기에 데이터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RLYB116은 C5를 억제하는 항체 유사 융합 단백질로, 자가 주사 가능한 치료법으로 환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이 치료법은 PNH, APS, 일반화된 중증 근무력증(gMG) 등 여러 보완 매개 질환에 대한 중요한 미충족 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또한, REV102는 HPP 환자를 위한 ENPP1 억제제로, 2025년 1분기에 IND 승인 연구에 들어갔으며, 2026년 1상 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다.랠리바이오의 포트폴리오에는 RLYB332라는 장기 작용하는 매트립타제-2 항체도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철 과다 질환에 대한 최상의 치료법이 될 가능성이 있다.랠리바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TD 증권과의 판매 계약을 수정했다.13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 3월 13일, 랠리바이오(이하 '회사')와 TD 증권(USA) LLC(이하 'TD 카우엔')는 2022년 8월 8일 체결된 판매 계약(이하 '원본 계약')에 대한 수정안 제1호(이하 '수정안')를 체결했다.이번 수정안은 회사가 판매할 수 있는 보통주(주당 액면가 0.0001달러)의 총액을 1억 달러에서 955만 달러로 줄이는 내용을 담고 있다.TD 카우엔은 회사의 지시에 따라 상시적으로 보통주를 판매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회사는 TD 카우엔에게 관례적인 면책권을 제공했으며, TD 카우엔은 판매된 보통주 총 수익의 최대 3.0%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보통주 판매는 이전에 제출된 유효한 등록신청서(Form S-3, 파일 번호 333-266668)에 따라 이루어질 예정이다.보통주는 유효한 등록신청서의 일부인 투자설명서 및 투자설명서 보충서를 통해서만 제공될 수 있다.보통주 판매는 1933년 증권법 제415조에 정의된 '시장 내 판매'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나스닥 글로벌 선택 시장 또는 회사의 보통주 거래 시장에서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회사는 보통주 판매에 대한 의무가 없으며, 언제든지 판매 제안을 중단하거나 판매 계약을 종료할 수 있다.보고서 작성일 기준으로 회사는 판매 계약에 따라 0달러의 보통주를 판매했다.수정안에 따르면, 회사는 12개월 동안 회사의 '공공 유동성'의 3분의 1을 초과하는 가치를 가진 보통주를 판매하지 않을 것이며, 공공 유동성이 7500만 달러 미만인 경우에 해당한다.회사는 본 보고서 작성일 기준으로 지난 12개월 동안 수정안 I.B.6에 따라 어떠한 증권도 제공하지 않았다.본 보고서는 어떠한 주식 판매 제안이나 구매 제안의 요청을 구성하지 않으며, 해당 주식의 판매가 불법인 주에서는 판매되지 않는다.수정안의 내용은 당사자 간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완전한 진술이 아니며, 수정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인센티브 보상 회수 정책을 발표했다.13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랠리바이오가 2023년 10월 2일자로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인센티브 보상 회수 정책을 채택했다.이 정책은 회사가 재무 보고 요구 사항에 대한 중대한 비준수로 인해 회계 재작성에 필요한 경우, 특정 임원들이 받은 인센티브 기반 보상을 회수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한다.이 정책은 미국 증권법 제10D조 및 그에 따른 규정에 따라 제정되었으며, 나스닥의 기업 거버넌스 규칙과 일치하도록 해석된다.정책의 적용 대상은 회사의 모든 이사, 임원 및 직원으로, 이들은 회사의 비공식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계약자나 컨설턴트도 포함된다.정책은 2023년 10월 2일부터 시행되며, Covered Executives(정의된 바와 같이)에게 지급된 Covered Compensation(정의된 바와 같이)에만 적용된다.만약 회사가 재무 보고 요구 사항에 대한 중대한 비준수로 인해 회계 재작성에 필요한 경우, 보상위원회는 Covered Executives가 받은 Covered Compensation을 검토하고, 잘못 지급된 보상을 회수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이 정책은 Covered Executives가 받은 보상에 대해 회수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보상위원회에 부여하며, 회수 방법에는 현금 보상 환수, 주식 보상 취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또한, 정책은 회수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예외 조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회수 비용이 회수할 보상보다 클 경우 회수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이 정책은 2023년 9월 13일에 제정됐다.※ 본 컨텐츠는 AI API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으로 수치나 문맥상 요약이 컨텐츠 원문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해당 컨텐츠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를 할때는 컨텐츠 원문을 필히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2024년 4분기 및 연간 재무 결과를 발표하고 사업 업데이트를 제공했다.13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 3월 13일, 랠리바이오(나스닥: RLYB)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된 4분기 및 연간 재무 결과를 발표하고 최근 회사 개발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공했다.랠리바이오는 2024년 동안의 강력한 실행에 대해 기쁘게 생각하며, 2025년 계획된 이정표에 대한 보고를 기대하고 있다.현재 RLYB212 2상 임상 시험에서 투여가 진행 중이며, 차별화된 C5 억제제인 RLYB116은 2025년 2분기에 확인적 약리학적/약리동태 연구에 들어갈 예정이다.또한, 저인산화효소증 환자를 위한 잠재적으로 최고의 ENPP1 억제제인 REV102는 2026년 1상으로 나아가고 있다.이러한 프로그램의 뛰어난 실행과 지속적인 재무 관리로 랠리바이오는 2025년 랠리바이오의 가치를 높이고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성공을 위한 포지셔닝에 집중하고 있다.최근 사업 하이라이트 및 향후 이정표로는 RLYB212 프로그램이 있다.2025년 2월, 랠리바이오는 RLYB212의 2상 시험에서 임신한 여성에게 투여가 시작되었음을 발표했다.2025년 2분기에는 2분기 동안의 약리학적(PK) 및 안전성 데이터가 예상되며, 2025년 3분기에는 출산 시점의 PK 및 안전성 데이터가 기대된다.2024년 10월에 2상 시험을 시작할 수 있는 규제 승인을 받았으며, 2024년 11월에 스크리닝을 시작했다.2025년 1월 31일 기준으로 14,300명 이상의 임신한 여성이 랠리바이오의 FNAIT 자연사 연구에서 스크리닝을 받았으며, 이 시점에서 미국과 캐나다의 사이트에서 스크리닝이 종료되었다.자연사 데이터는 RLYB212를 받지 않는 고위험 참가자들이 포함된 2상 시험의 하위 연구에서 계속 수집될 예정이다.랠리바이오는 2025년 중반에 FNAIT 자연사 연구의 중간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RLYB116 프로그램에서는 2024년 12월에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나스닥 상장 유지 요건 미달 통지를 받았다.25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 2월 24일, 랠리바이오가 나스닥 상장 자격 부서로부터 통지서를 수령했다.통지서에 따르면, 랠리바이오의 보통주 종가가 지난 30일 연속 거래일 동안 주당 1.00달러의 최소 종가 요건을 하회했다.이 통지는 나스닥 상장 규정 제5450(a)(1)에 따른 것으로, 랠리바이오의 상장 유지에 필요한 요건 중 하나이다.현재 통지는 랠리바이오의 보통주 상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회사는 나스닥의 상장 요건을 계속 준수하는 한 상장 상태를 유지하고 거래를 계속할 수 있다.랠리바이오는 나스닥 상장 규정 제5810(c)(3)(A)에 따라 180일의 기간, 즉 2025년 8월 25일까지 결함을 수정하고 최소 종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이를 위해 랠리바이오의 보통주 종가는 최소 10일 연속으로 주당 1.00달러 이상이어야 한다.회사는 보통주 종가를 모니터링하고 정해진 기간 내에 준수를 회복하기 위한 가능한 옵션을 탐색할 계획이다.만약 랠리바이오가 준수 마감일 이전에 최소 종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회사는 나스닥 자본 시장으로의 상장 이전 전환을 신청할 경우 추가 180일의 기간을 받을 수 있다.이를 위해서는 공개적으로 보유된 주식의 시장 가치에 대한 상장 요건과 모든 초기 상장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결함을 수정할 의사를 나스닥에 서면으로 통지해야 한다.만약 랠리바이오가 준수를 회복하지 못하거나 나스닥 자본 시장으로 전환하지 못할 경우, 나스닥으로부터 상장 폐지 통지를 받을 수 있다.만약 이러한 통지를 받게 된다면, 랠리바이오는 나스닥의 상장 폐지 결정에 대해 나스닥 청문 위원회에 항소할 수 있다.1934년 증권 거래법의 요구에 따라, 등록자는 이 보고서를 서명한 바 있다.※ 본 컨텐츠는 AI API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으로 수치나 문맥상 요약이 컨텐츠 원문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해당 컨텐츠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를 할때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2024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랠리바이오가 2024년 9월 30일로 종료된 분기에 대한 10-Q 양식을 제출하며 실적을 발표했다.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2024년 3분기 동안 총 수익 299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수치이다.운영 비용은 1,236만 5천 달러로, 연구 및 개발 비용이 824만 달러, 일반 및 관리 비용이 412만 5천 달러로 집계됐다.이로 인해 운영 손실은 1,206만 6천 달러에 달했다.또한, 회사는 2024년 9월 30일 기준으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시장성 증권을 포함하여 총 7,510만 달러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회사는 RLYB212와 RLY
랠리바이오(RLYB, Rallybio Corp )는 2024년 3분기 재무 결과를 발표하고 사업 업데이트를 제공했다.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4년 11월 7일, 랠리바이오(나스닥: RLYB)는 2024년 9월 30일로 종료된 분기의 재무 결과를 발표하고 최근 회사의 발전 상황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공했다.랠리바이오는 임상 시험 신청서(CTA) 승인을 받아 RLYB212의 2상 임상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며, 2024년 4분기 내에 임신한 여성에 대한 스크리닝을 시작할 계획이다.랠리바이오의 CEO인 스티븐 우든 박사는 "RLYB212를 2상 시험으로 진전시키는 것은 랠리바이오에 있어 중요한 성과다. 임상 시험 신청서 승인을 받은 만큼, 임상 사이트를 활성화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