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면제거와 화장실 개선 등 7천435억…콩나물교실 개선 1천810억
예산안에 따르면 세입예산은 ▲ 중앙정부 이전수입 4조6천495억원 ▲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1천524억원 ▲ 순세계잉여금 1천945억원 등이다.
세출 예산은 ▲ 교육환경 개선 1조1천342억원 ▲ 교육복지 내실화 1천927억원 ▲ 미래교육 기반조성 3천833억원 ▲ 재정건전성 강화 3조209억원 ▲ 교육과정 다양화 1천812억원 ▲ 교육행정일반 939억원 등이다.
교육환경 개선 사업 중 노후 화장실 개선과 석면 제거, 외벽 보강 공사 등에 7천435억원이 마련됐다.
과밀학급 문제 개선을 위한 학교 신·증설, 모듈러 교실 설치 등에는 1천810억원을 꾸렸다.

미래교육 기반조성을 위한 예산은 스마트단말기 및 교실 정보화기기 보급(3천200억원), 과학실 현대화 및 건강 통합교실 구축(123억원) 등으로 짜였다.
재정건전성 강화사업과 관련해서는 통합재정안정화기금 1조6천307억원이 반영됐다.
이밖에 신속 항원 진단키트 구매 등 코로나19 방역 지원 1천406억원, 누리과정 지원 1천68억원, 물가인상분 반영 등에 따른 학교급식 경비 523억원, 특성화고 취업역량 강화 202억원, 대안교육 운영지원 26억원 등도 포함됐다.
도 교육청 서혜정 정책기획관은 "이번 추경 예산안은 과밀학급 해소와 학습결손, 사회성 회복 지원 등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과 스마트단말기 보급을 비롯한 미래교육을 위한 기반 조성을 최우선으로 두고 편성했다"고 말했다.
도 교육청이 제출한 이번 추경안은 오는 20일 도의회 본회의에서 심의한다.
news@beyondpost.co.kr